북한, 정찰위성 2차 발사도 실패…"3단계 비행중 오류"<br /><br /><br />지난 5월 31일 군사정찰 위성 발사에 실패했던 북한이 오늘 새벽 3시 50분쯤 2차 발사를 시도했지만 2시간 반 만에 실패했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1,2단은 정상 비행했지만 3단 비행 중 비상 폭발 체계에 오류가 생겨 실패했다고 인정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2차 발사 실패 인정과 함께 10월에 3차 발사를 단행하겠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북한의 군사위성 2차 발사 실패와 관련해, 장영근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 전화로 연결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교수님, 나와 계십니까?<br /><br /> 북한이 지난 5월에 이어 이번 2차 발표도 실패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센터장님께선 3개월 만에 재발사한다는 게 상당히 서두르는 것 같다고 하셨었는데, 85일 만에 재발사는 무리였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북한이 발사를 예고한 첫째날 발사를 했는데요. 2차 발사 시간이 새벽 3시 50분쯤입니다. 이렇게 새벽 시간에 로켓을 발사하기도 하나요? 그 시간대 발사장의 날씨를 고려한 것일까요?<br /><br /> 북한은 3단계 비행 중 비상폭발체계에 오류가 발생했다고 밝혔는데요. '비상폭발체계'라는 것이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3단계라면 인공위성 부분 아닌가요? 3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했다면 어떤 부분에 문제가 있었다고 예측해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1차 발사 당시 북한은 실패 원인으로 로켓 엔진 결함 문제라고 했었는데, 이번에는 3단계 비행 중 오류가 발생했다고 했습니다. 그렇다면 1차 발사의 문제 원인은 해결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북한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신형 위성 로켓 '천리마-1형'에 탑재해 2차 발사를 단행했다고 했는데요. 그렇다면 5월에 사용했던 것과 같은 발사체를 사용했다는 건데, 발사체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을까요?<br /><br /> 이번에도 발사 2시간 30여분 만에 발사 실패 사실을 공개했는데요. 북한으로서는 위성 기술의 한계를 드러낸 것으로 볼 수도 있는데, 이렇게 실패 사실을 감추지 않고 발표한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북한이 10월에 3차 발사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비상 폭발 체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한 원인을 빠른 기간 내 해명할 거라고 했는데요. 비상 폭발 체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한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쉬운 일인가요? 10월에 3차 발사하는 게 가능할까요?<br /><br /> 앞서 김정은 위원장은 "연속해서 여러 개 정찰위성 다각배치"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. 북한이 쏘는 우주발사체가 사실상 ICBM 기술이라고 봤을 때, 김정은 위원장이 얘기한 것처럼 여러 개의 정찰위성 발사가 가능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