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시 텃밭에서 채소를 키우거나 정원에서 반려식물을 가꾸는 이른바 '도시농부'가 200만 명에 달한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도시농업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했더니 5조 원이 넘는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반려식물 병원에 환자와 보호자가 도착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에서는 원예전문가가 의사입니다. <br /> <br />뿌리 상태가 좋지 않다는 진단을 내린 뒤 직접 분갈이를 해주고 퇴원할 때 영양제도 추천해 줍니다. <br /> <br />[김은영 / 서울시 증산동 : 뿌리가 많이 안 좋더라고요. 그거를 이제 선생님께서 잘 진찰해 주시고 그리고 몰랐던 것들을 많이 알게 돼서 좋았던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병원은 치료실과 입원실을 갖추고 있는데 상태가 심각한 경우엔 최장 석 달 동안 집중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은희 / 식물클리닉 상담사 : 오시면 보통 대부분은 물 주는 시기나 빛이나 이런 게 문제가 돼서 저희가 진단을 해드리고 다시 제대로 키우실 수 있게 처방을 해드리고 있습니다] <br /> <br />식물 공기청정기로 불리는 바이오 월입니다. <br /> <br />미세먼지 저감과 새집증후군 완화 효과까지 알려지면서 학교와 사무실 위주로 설치 문의가 꾸준히 들어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농진청이 지난 2013년 처음 개발한 뒤 민간기업에 기술 이전한 사례만 19건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[김철민 / 바이오월 업체 대표 : 최근 들어 도시민들의 90% 이상의 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하는 분들의 입장에서 본다면 미세먼지 저감이라든지 이런 공간을 통해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그런 상황에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도시에서 텃밭 정원 등을 가꾸는 도시농부는 지난해 기준 196만 명, 도시 텃밭 면적은 1,052ha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도시농업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했더니 5조 원을 웃돈다는 분석결과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농자재 구입이나 일자리 창출 등의 경제적 가치가 3조 이상, 신체적 활동과 정서적 건강 증진 등의 사회적 가치가 1조 3천억, 여기에 탄소 저감과 도시녹화에 따른 환경적 가치가 7천억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[문지원 / 농촌진흥청 도시농업과 연구사 : 단순히 '좋을 것이다'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사회적으로 환경적으로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 저희가 수치를 좀 정량화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둘 수 있겠습니다.] <br /> <br />이제는 어엿한 산업으로 주목받는 도시농업. <br /> <br />농진청은 이번 분석 결과를 도시와 농촌의 공동발전을 위한 도시농업 정책 수립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82418415402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