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파월 "물가 2%까지 긴축 유지"...주담대 금리 7% 코앞 / YTN

2023-08-26 68 Dailymotion

■ 진행 : 박광렬 앵커, 황서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와이드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국 연방준비제도 제롬 파월 의장이 물가 상승 목표치, 2%를 재확인했습니다.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긴축을 지속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러다 보니 주택담보대출 상단이 올해 안에 7%를 찍는 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와 함께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밤사이 미국의 중앙은행격이죠.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연설을 했습니다. 9% 넘는 물가상승률이 3%까지 내려와서 저희가 긴축을 완화하는 게 아니냐 이런 기대가 있었는데 일단은 선을 그었어요.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? <br /> <br />[석병훈] <br />미 연준은 두 가지 정책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. 물가안정하고 완전고용이거든요. 그런데 먼저 완전고용 부분을 살펴보면 7월달이 미국의 실업률이 3.5%였습니다. 그런데 미 연준이 완전고용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지표는 실업률 0.4% 거든요. 미국의 장기 평균 실업률입니다. 그런데 현재 7월 실업률은 3.5%로 장기 평균 실업률인 4.0%보다 낮으니까 완전고용은 이미 달성이 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 또 다른 미 연준의 정책목표인 물가안정을 살펴보면 물가안정은 미국의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전년 대비 상승률로 2%를 달성하는 게 목표인데요. 6월달에 발표된 가장 최근 수치는 3.0%입니다. 그래서 여전히 1.5배 높은 수준이고요, 목표보다. 그것뿐만 아니라 물가가 하락하는 장기 추세를 보여주는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상승률은 여전히 4.1%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서 아직까지는 물가가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증거가 불확실하다는 논리로 지금 잭슨홀 연설에서 역시 긴축 완화 기조에 선을 그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럼 일단은 긴축 완화 기조에 선을 그으면서 이런 발언들을 잭슨홀 미팅에서 했는데 그럼에도 미국 증시에 딱히 충격은 없었던 것 같아요. 이 정도 발언을 시장이 예상을 했던 걸까요? <br /> <br />[석병훈] <br />그렇습니다. 왜냐하면 작년 이맘때 잭슨홀 미팅에서 했던 발언을 보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미국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82610443453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