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·20대 정신건강 적신호…"꾸준한 상담 관리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죠.<br /><br />그런데 최근 10대와 20대의 자살률이 크게 늘면서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는데요.<br /><br />이를 막을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홍서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사고나 중독으로 인한 신체·정신적 건강 피해를 '손상'이라고 합니다.<br /><br />추락이나 운수사고 등이 대표적인데, 재작년 발생한 손상 환자는 95만여 명으로 전체 입원 환자 가운데 가장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이 가운데 의도적인 손상인 자해나 자살로 입원한 환자는 인구 10만 명당 35명.<br /><br />10년 전인 2011년보다 소폭 줄었는데, 청소년의 경우 오히려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13~18세 청소년 자해 환자는 10만 명당 57명에 달해, 10년 만에 21명이 늘며 전체 연령에서 가장 많은 환자 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약물 자해를 시도하는 비율도 제일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중독 손상환자 가운데 의도적으로 자해한 환자의 비율은 15~24살이 88.2%로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.<br /><br /> "경쟁은 치열하고, 정신건강의 문제가 생겨도 도움을 받지 못하고. 코로나 시기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정신건강 쪽으로도 받은 세대가 10대 20대입니다."<br /><br />전문가들은 청소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넷상의 상담 창구를 더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지금도 생명의전화 등에서 비대면 상담을 받을 수 있지만, 더 접근성을 늘려야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또 자살시도자의 자살 위험은 일반인보다 훨씬 높아, 자살 재시도를 막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.<br /><br />꾸준히 상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기관과 지역사회의 관리가 중요하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홍서현입니다. (hsseo@yna.co.kr)<br /><br />#손상 #자해 #10대 #청소년 #정신건강<br /><br />※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자살예방 핫라인 1577-0199,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, 희망의 전화 129, 생명의 전화 1588-9191,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