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아세안과 G20 정상회의에서 오염수 방류에 대한 이해를 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중국이 방류에 반발하며 일본산 수산물 전면 수입금지 조치에 나선 가운데 리 창 중국 총리와 만날 수 있을지도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김세호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기시다 총리는 이번 아세안 정상회의와 G20 정상회의를, 오염수 방류의 이해를 구하는 기회로 삼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인터뷰: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] 2'27"-2'42" "IAEA와 협력을 해나가면서 대처하고 있는 일본의 조치와 관련해 이해와 협력을 얻을 수 있도록 설명하려고 합니다." <br /> <br />기시다 총리는 아세안 정상회의 기간 열리는 아세안+3 정상회의에서 중국 리 창 총리와도 대면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중국이 오염수 방류에 강하게 반발하는 상황에서 중일 양자 회담 여부는 불투명합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는 세계무역기구, WTO에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금수 조치 철폐를 요구하는 문서를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주도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, RCEP에는 금수조치 철회를 위한 토의도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방류 전인 지난 7월 일본의 대 중국 수산물 수출은 중국의 규제 강화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%가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방류 이후에는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아예 금지했고, 홍콩도 수산물 수입금지 대상 지역을 두 배인 10곳으로 늘려 타격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수산물 시장 상인 : 8월 25일 이후 매상에서는, 홍콩을 중심으로 우리가 수출을 하고 있는 만큼, 최근들어 90% 마이너스입니다.] <br /> <br />일본은 천7억 엔을 투입해 수산업 지원에 나서며, 수출 다변화와 국내 가공체제 강화 등 탈중국화를 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아사히 신문은 유럽, 미국의 음식문화가 다르고 자재와 전기료 급등으로 국내 가공공장 설립이 쉽지 않다는 점 등을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 오염수 방류에 대한 중국의 강경한 자세에 좀처럼 뾰족한 수를 내지 못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다자간 정상회의에서 오염수 방류의 이해를 구한다고 해도 가시적 성과를 기대하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세호 (se-3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90520562269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