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8백년 전 고려 나전칠기 일본에서 환수...자개 4만5천 개의 영롱한 광채 / YTN

2023-09-06 1 Dailymotion

영롱한 무지개 빛 국화 무늬 자개들이 표면 가득 장식된 고려 나전칠기가 일본에서 돌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문화재청은 오늘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지난 7월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나전칠기 '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'를 처음으로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13세기 제작으로 추정되는 이 유물은 가로 33cm, 세로 18.5cm, 높이 19.4cm 크기의 나무상자로 고려 나전칠기의 진수를 보여줍니다. <br /> <br />약 770개의 국화넝쿨무늬 자개가 상자 몸체와 뚜껑을 감싸고 있고, 모란넝쿨무늬와 연주무늬 자개가 뚜껑 윗면 테두리와 외곽을 각각 장식하는 등 사용된 자개 수가 약 4만5천 개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고려 나전칠기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점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20점도 안 될 정도로 희귀한데 이번 유물은 자개 본래의 무지개 빛깔과 광택이 살아있고, 장식 재료의 보존상태도 고려 나전칠기 중에서 탁월하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또 자개로 국화나 모란무늬를 상자 전면에 빼곡하고 규칙적으로 배치한 점, 단선의 금속선으로 넝쿨 줄기를 묘사한 점, 매우 작게 오려낸 자개에 음각의 선을 그어 세부를 표현한 점 등도 돋보입니다. <br /> <br />문화재청은 이번에 환수한 유물의 문양과 보존상태가 고려 나전칠기를 대표할 만큼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학계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유물을 발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유물은 일본 개인 소장가의 창고에서 100여 년 이상 보관돼 있다 지난해 7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일본 현지 협력망을 통해 처음으로 확인된 뒤 문화재청과 재단이 1년여의 조사와 협상 끝에 지난 7월 환수에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지난 5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X선 촬영 등 정밀분석을 통해 목재에 직물을 입히고 칠을 하는 우리 전통적 칠기 제작기법인 '목심저피칠기'가 사용된 점도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나전칠기는 무늬가 아름다운 전복이나 조개, 소라 껍데기를 갈아 얇게 가공한 자개로 문양을 만들어 붙여 장식하고, 칠을 한 공예품을 뜻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교준 (kyoj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090609020475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