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교육 현장에서 선생님들이 극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는 소식 자주 접하게 되죠. <br /> <br />그런데 선생님들뿐만 아닙니다. <br /> <br />우리 아이들 또한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는데요. <br /> <br />최근 5년 사이 어린이 우울증이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교육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1천 8백여 명이던 6세~11세 우울증 진료 어린이가, 2022년 3천 5백여 명으로 91.5%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팩데믹 전후로 극단적 선택을 한 초중고생의 수도 급격하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2018년부터 2020년까지 한 해 140명 가량의 청소년들이 스스로 세상을 등졌는데요. <br /> <br />2021년부터 그 수가 늘면서 한 해 190명 가량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왜 이런 선택을 하게 됐을까? <br /> <br />'2022년 아동권리 인식 조사' 결과를 보면 그 이유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아동권리보장원이 지난해 9월에서 10월, 만 9세 이상 18세 미만 아동·청소년 1,379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, 응답자의 27.3%, 그러니까 4명 중 1명은 스스로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아동은 매년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2020년 16.5%, 2021년 18.6%였는데, 2022년에는 더욱 눈에 띄게 증가했죠. <br /> <br />그들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? <br /> <br />주로 학업문제와 가정 불화 등을 이유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스스로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아이들 가운데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'가정이 화목하지 않아서'가 33.3%로 가장 많았고, 고등학생은 '학업문제'로 행복하지 않다는 답변이 40%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년 간 극단적 선택을 한 아동·청소년의 가장 큰 원인도 원인 미상을 제외하면 학업 진로문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BBC 등 외신이 한국의 교권실태를 분석하면서 초경쟁 사회가 교권 추락의 원인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는 교권 추락뿐만 아니라 결국 아이들의 불행과 우울을 증가시킨다는 방증이기도 하죠. <br /> <br />경쟁을 부추겨 아이들의 점수는 올릴 수 있을지 몰라도 행복도는 점점 더 추락하고 있는 교육 현실, 초경쟁사회가 아이들을 깊은 우울 속으로 내모는 건 아닌지 심각한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90716433134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