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 교역의 최종 성적표인 경상수지가 석 달 연속 흑자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규모가 많이 줄어든 데다, 수출 부진은 여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나연수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한국은행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7월에도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한국은행 발표를 보면 지난 7월 경상수지는 35억 8천만 달러 흑자입니다. <br /> <br />5월부터 석 달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는 42억 8천만 달러 흑자로, 넉 달째 흑자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번 돈에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번 돈을 뺀 본원소득수지도 배당 수입 증가로 29억 2천만 달러 흑자였습니다. <br /> <br />흑자긴 하지만, 규모는 직전 달보다 19억 달러 넘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서비스수지는 해외여행이 늘어난 영향 등으로 25억 3천만 달러 적자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서비스수지 적자가 계속되는 데다 본원소득수지 흑자 폭까지 줄면서 전체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말씀하신 대로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줄어드는 등 내용을 보면 우려스러운 부분이 많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상수지가 석 달 연속 흑자긴 하지만, 내용은 좋지 못합니다. <br /> <br />우선 흑자 규모 자체가 직전 달인 6월보다 크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6월 58억 7천만 달러 흑자와 비교하면 22억 달러 넘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본원소득수지가 줄어든 영향이 크긴 했지만, 수출 부진 여파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상품수지가 넉 달째 흑자지만, 수출보다 수입액이 더 크게 줄면서 겨우 흑자를 유지하고 있는 건데요. <br /> <br />실제로 한국은행 통계를 봐도 수출은 1년 전보다 87억 달러 넘게 줄어 11개월 연속 뒷걸음질 쳤습니다. <br /> <br />승용차 수출이 호조를 보이긴 했지만, 반도체와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여전히 부진한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상품수지가 흑자를 낸 건, 수입액이 1년 전보다 135억 달러 넘게 급감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에너지 수입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입액이 줄어든 데다, <br /> <br />곡물과 승용차, 가전제품 등 소비재 수입까지 줄어든 게 눈에 띄는데요. <br /> <br />이런 탓에 수출 성적보다 수입 감소에 기댄 불황형 흑자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한국은행은 경기 둔화 흐름이 회복되고 있다며, 불황에 빠진 상황은 아니라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지난해 7월 경상수지가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연수 (ysn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90810052742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