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 "北, 한달반 전부터 러시아에 탄약 제공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측의 무기 거래가 현실화됐다는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북한이 이미 한달 반 전부터 러시아에 탄약을 제공하기 시작했다는 우크라이나군 정보기관의 분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이준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'무기 거래' 회동으로 이미 1년 6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는 한층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우크라이나 군당국은 북한이 오랜 기간 비축해온 탄약이 이미 러시아에 지원되고 있는 단계로 평가하고, 북한산 무기들이 향후 전황에 미칠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키릴로 부다노우 우크라이나 국방부 군사정보국장은 "한 달 반 전 (탄약 제공) 합의 이후 선적이 시작됐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앞서 지난 7월 말 북한의 이른바 전승전 열병식을 계기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을 평양에 보내 양측의 국방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부다노우 국장은 "불행하게도 북한은 무기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주요국가 중 하나"라며 현재 러시아군의 탄약 부족 상황이 개선될 경우, 전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.<br /><br />푸틴 대통령이 북한에 제공할 '반대 급부'는 우선 위성발사 지원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그들이 군사위성 (협력) 언급을 했는데, 이건 실제로 선례가 있는 일입니다. 작년 8월 이란이 카얀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과정에서 러시아가 도움을 줬습니다."<br /><br />기술적 지원 외에도 위성 판매나 임대도 가능한 선택지로 꼽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다만 푸틴 대통령 스스로 '대북제재 틀 내에서의 협력'을 거론한 만큼, 북한의 핵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군사 기술까지 이전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준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