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정부 때 국책기관인 한국부동산원의 집값 통계가 조작됐다는 감사원 발표가 나오면서, 부동산 통계의 신뢰성이 의심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관별로 통계가 제각각인 이유를 윤해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송파구 가락동에 있는 대단지 아파트입니다. <br /> <br />전용면적 84㎡ 매매 시세 하한 평균은 국책 기관인 한국부동산원이 17억 6천만 원. <br /> <br />민간 기관인 KB국민은행은 19억 원으로, 같은 집인데도 1억 원 넘게 차이가 납니다. <br /> <br />주변 대표적인 아파트 단지 몇 곳을 비교해봤더니, 적게는 5천만 원부터 많게는 1억 원 가까이 차이가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도 차이가 났습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원은 전국 아파트 매매가가 올해 6월 말부터 반등했다고 발표했지만, KB는 8월에서야 상승 전환했다고 집계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차가 거의 두 달 가까이 벌어진 겁니다. <br /> <br />진단이 아예 상반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올해 6∼7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 지수 변동률을 보면, KB는 하락한 반면 부동산원은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기관마다 통계가 제각각 이유는 표본 수와 조사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KB의 조사 표본 수는 전국 아파트 6만 2천여 가구로, 부동산원보다 두 배 더 많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 방식도 KB는 중개업소가 직접 가격을 적고, 부동산원은 조사원이 개별 가격을 조사해 적정가를 산출합니다. <br /> <br />두 기관 모두 표본 실거래가가 없으면 주변 아파트 거래나 호가 등을 활용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지거나 주관이 개입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조사 기간이 짧은 주간 통계 발표가 오히려 시장 왜곡을 부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이창무 /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: 주간 조사를 공식적으로 공표하는 것 자체에 대한 의문이 분명히 생기는 상황이 된 것이라서 내부적으로 활용하겠다면 그럴 수 있겠지만, 외부에 공표하는 건 지양해야 하는 방향성이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지난 정부에서 부동산원의 집값 통계가 조작됐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까지 나오면서 부동산 통계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통계 신뢰성과 독립성을 확보할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원희룡 / 국토교통부 장관 : 우리 내부의 뼈아픈 진단을 해서 방향을 잡고 필요하면 공론화를 거쳐서 (보완 방안을) 결정하도록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가격 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92105173468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