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대에 맞게…추석 간소화 차례상에 뭐 올라가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부담스러운 장바구니 물가에 명절 차례상에 대한 인식도 계속해서 바뀌어 가고 있죠.<br /><br />이번 추석에는 상차림을 간소화 하겠다는 반응이 많았는데, 그렇다면 무엇을 올려야 할까요.<br /><br />문형민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34만 2,215원. 대형마트에서 28개 추석 성수품으로 준비한 차례상의 평균 차림 비용입니다.<br /><br />비용 부담이 적지 않아, 소비자들은 시대에 맞게 차례상을 전보다 간소화하겠다는 반응입니다.<br /><br /> "(차례상) 훨씬 줄이고 있어요. (추석에는) 제사에 올릴 것만 살 생각이고요."<br /><br /> "없으면 없는 대로 먹고, 있으면 있는 대로 먹어야지. 세월이 가는데 우리가 어떻게 쫓아갈 거야."<br /><br />그렇다면 간소화 상차림엔 무엇이 올라갈까. 전문가의 차례상을 보니 조금 휑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꼬치나 동태전, 동그랑땡과 같이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서 보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 "(추석) 차례는 송편 위주로 간다고 보면 됩니다."<br /><br />송편과 함께, 과일, 구이, 나물, 김치, 술 등 6종류면 차례를 지내기 충분하다고 설명합니다.<br /><br />이에 더해 전과 같은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를 지내는 건 오히려 예가 아니라는 겁니다.<br /><br />또 홍동백서, 붉은 과일을 동쪽에,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것도 옛 문헌엔 없는 표현입니다.<br /><br /> "홍동백서나 조율이시(대추·밤·배·감)와 같은 표현은 우리나라 어떤 예서에도 나와 있지 않습니다."<br /><br />따라서 음식을 놓는 위치에 신경 쓰지 않고, 각자 편한 방식으로 상에 올리면 되는 겁니다.<br /><br />유교 전문가는 음식 가짓수와 출처 모를 예법보다 조상을 향한 마음이 먼저라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. (moonbro@yna.co.kr)<br /><br />#추석_차례상 #간소화_상차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