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반도체법 최종안…삼성·SK 안심하긴 아직 일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중국 내 생산을 제한하는 보조금 제한 규정을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내놓은 초안과 비슷한 수준이지만, 중국에 생산공장을 두고 있는 우리 반도체 업체들이 안심하기엔 아직 일러 보입니다.<br /><br />당장의 중국 생산을 유지하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, 증설은 사실상 불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김주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정부가 내놓은 반도체법 보조금 안전장치 규정의 핵심은 중국에서의 반도체 생산을 제한하겠단 겁니다.<br /><br />최종안을 살펴보면, 보조금을 받은 기업들은 10년간 중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량을 5% 이상 늘리면 안됩니다.<br /><br />이전 세대의 범용 반도체의 경우, 10% 이상 확장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이를 어길 경우 지급한 보조금은 모두 회수합니다.<br /><br />다만 초안에 있었던 10만 달러 이상 규모의 반도체 설비 확장 투자를 금지한다는 조항은 삭제됐고, 구축 중인 중국 내 설비는 규제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이같은 최종안에 대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별도의 입장을 내놓진 않았지만, 최악은 면했다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최근 중국 화웨이 스마트폰에 SK하이닉스의 반도체가 탑재된 사실이 알려진 점 등을 감안했을 때, 엄격한 규제안이 나올 것이란 전망도 있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현재 삼성전자는 시안 공장에서 전체 낸드플래시 40%를 생산하고 있고, SK하이닉스는 다롄과 우시에서 각각 전체 낸드플래시와 D램의 20%, 40%를 만듭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번 보조금 규제로 중국에서의 설비 시설을 더 확장하는 건 사실상 어려워졌습니다.<br /><br /> "반도체의 핵심 생산(시설)은 국내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 늘어나는 수요, 첨단 반도체에 대한 제조는 국내에 집중을 해서…"<br /><br />당장 한숨은 돌렸지만 미중간 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, 앞으로도 중국 리스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. (ju0@yna.co.kr)<br /><br />#반도체법 #칩스법 #삼성전자 #SK하이닉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