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마에 오른 아파트 가격 통계…"신뢰·공정성 담보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정부에서 아파트값 통계가 조작됐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국가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통계는 신뢰성과 공정성이 핵심인데요.<br /><br />부동산 통계는 어떻게 달라져야 할지 박효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감사원은 문재인 정부 시절, 한국부동산원이 매주 발표하는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통계가 최소 94번 조작됐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아파트값이 오른 것으로 나오면 예측치를 미리 받아본 청와대가 낮추라고 지시했다는 건데, 실제 지난 정부 5년간 부동산원은 서울 집값 상승률이 19.5%라고 밝힌 반면, KB국민은행은 62.2% 올랐다고 발표하는 등 혼란상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아파트 가격 통계 조사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국토교통부는 통계책임관 도입을 검토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 "내부의 뼈아픈 진단을 해서 방향을 잡고 필요하면 공론화를 거쳐서 결정하겠습니다. 오늘 내일 당장 서둘러서 하기에는 사안이 너무 엄중하다(고 봅니다.)"<br /><br />한국부동산원은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 조사를 거쳐 목요일 전국 시군구 200여 곳의 아파트값 동향을 발표합니다.<br /><br />조사 기간이 짧다 보니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렵고, 거래가 없는 경우 호가와 실거래가를 혼합해 지수를 작성하는 경우도 많아 표본도 일정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월간이나 분기가 아닌 주간 단위로 가격 동향을 발표하는 게 과연 필요하냐는 의문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너무 짧은 주기의 변동성, 0.01%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고 주간으로 자주 정보가 쏟아지다 보니까 시장과 실수요자 입장에서 오히려 혼란을 부추겨요."<br /><br />잘못된 통계는 시장을 왜곡하고 잘못된 정책으로 이어지기 마련입니다. 아파트값 통계를 둘러싼 논란은 여러 해 지속돼 온 만큼 이제라도 최선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효정입니다. (bako@yna.co.kr)<br /><br />#한국부동산원 #주간아파트가격동향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