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정원 "선관위 보안점검…투·개표 시스템 해킹에 취약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가정보원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(선관위) 사이버 보안 관리가 부실해 투·개표 시스템이 해킹에 취약하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선관위 보안 점검 결과 브리핑에서 공개한 내용인데요.<br /><br />2021년 북한 해킹 조직의 악성코드에 감염돼 선관위 문건들이 유출된 사실도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김승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정원은 가상의 해커가 선관위 전산망 침투를 시도하는 방식으로 선관위에 대한 사이버 보안점검을 하고 그 결과를 브리핑했습니다.<br /><br />점검 결과 선관위 내부망으로 침투할 수 있는 허점이 있었고, 접속 권한과 계정 관리도 부실해 해킹이 가능했습니다.<br /><br />즉, 해커의 의도에 따라 '사전 투표한 인원을 투표하지 않은 사람'으로 표시하거나,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'유령 유권자'를 정상적인 유권자로 등록하는 등 선거인명부를 변경할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선관위 내부 시스템에 침투해 실제 사전투표 용지와 QR 코드가 동일한 투표지를 무단으로 인쇄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개표 결과가 저장되는 '개표 시스템'도 보안 관리가 미흡해 해커가 개표 결과를 변경할 수 있음이 드러났으며, 투표지 분류기에 해킹프로그램을 설치해 투표 분류 결과도 바꿀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선관위는 국정원에서 통보한 북한발 해킹 사고에 대해 사전에 인지하지도 못했고 적절한 대응 조치도 하지 않았다고 국정원은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선관위는 이메일 해킹 피해자에게 통보조차 하지 않아 동일 직원이 연속으로 해킹을 당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이번 보안 점검을 통해 2021년 4월쯤 선관위 인터넷 PC가 북한 해킹조직 '킴수키'의 악성코드에 감염돼 상용 메일함에 저장된 대외비 문건 등 업무자료와 인터넷 PC의 저장자료가 유출된 사실도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선관위는 지난해 '주요 정보통신 기반 시설 보호 대책'과 관련해 자체 평가 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국정원에 통보했지만, 이번에 합동 보안점검팀이 동일 기준으로 재평가 한 결과 31.5점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국정원 고위 당국자는 이번 보안 점검 결과를 과거 선거 관련 의혹과 연계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승욱입니다. (kind3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