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정한 선거를 책임지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사이버 보안 관리가 허술해 해킹 공격에 취약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정보원이 해커의 관점에서 문제를 확인해 보니 선거인 명부를 조작하거나 개표 결과 변경까지 가능한 수준이었는데 선관위는 해킹을 통한 선거 결과 조작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정원이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합동 보안 점검을 한 결과 선관위의 사이버 보안 관리는 전반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가상의 해커가 전산망 침투를 시도하는 방식으로 점검해봤더니 투·개표 시스템은 물론 내부망에서도 취약점은 한두 군데가 아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해킹으로는 사전투표한 인원을 투표하지 않은 사람으로 표시하거나, 존재하지 않는 유령 유권자를 정상적인 유권자처럼 둔갑시키는 것도 가능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전투표 용지에 날인되는 선관위 도장도 선관위 내부 시스템에 침투해 훔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개표 시스템 역시 보안 관리가 미흡해 해커가 개표 결과를 손쉽게 바꿀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발생했던 해킹사고에 대한 선관위의 대응도 낙제점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2년간 국정원에서 통보한 북한발 해킹사고에 대해선 사전에 알지 못했고 해킹사고 피해자에게 통보조차 안 해 같은 직원이 연속으로 해킹당하는 일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선관위는 지난해 자체 평가한 보안 점검 수준을 100점 만점으로 제출했는데 재평가한 결과 최저점 수준에도 못 미친 30점대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국정원은 북한의 직접 해킹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면서도 조사 기간 등의 문제로 전체 장비 가운데 5%만 점검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선관위는 선거 시스템에 대한 해킹 가능성이 곧바로 실제 부정선거 가능성으로 이어지는 건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내부 조력자가 조직적으로 가담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시나리오라며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 있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단순히 기술적 해킹 가능성만을 부각해 선거 결과 조작 가능성을 언급하는 건 선거 불복을 조장할 수 있다고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선관위는 지난 2021년 4월 직원 1명의 PC가 악성 코드에 감염된 사실을 인정하며 보안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01016355959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