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부 의사들이 마약류 의약품을 권장 복용량을 넘겨 '셀프 처방'했다가 당국에 적발돼 경찰 수사를 받는 것으로 YTN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용처가 의심되기 때문인데, 이들 마약류에는 약물에 취한 채 차량을 몰다가 행인을 치어 중상을 입힌 '롤스로이스' 사건 피의자가 복용한 약품과 같은 종류도 포함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기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8월 서울 압구정에서 20대 여성을 차로 무참히 들이받은 '롤스로이스남' 신 모 씨. <br /> <br />사고 직전은 물론 이전부터 '디아제팜' 등 다량의 마약류를 투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[신 모 씨 / 위험운전 치상 혐의 피고인(지난 8월) : (사고 당시 기억 안 난다고 하셨는데, 약물 과다 투약하신 거 아닌가요?) 아닙니다. 사죄드립니다. (병원 여러 군데 돌아다니면서 약물 쇼핑하셨을까요?)] <br /> <br />간질 등에 처방되는 신경 안정제의 일종인 디아제팜은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분류되는데, 강한 중독성이 특징입니다. <br /> <br />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할 이런 마약류 의약품을 일부 의료진은 자신 이름으로, 그것도 권장 복용량을 훨씬 넘겨 '셀프 처방'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한 치과 의사는 지난 2년 동안 매년 1,200개 넘게 디아제팜을 스스로 처방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루 2~4번씩, 한 달 기한으로만 복용하라는 '권장 복용량'의 10배를 훌쩍 넘어선 겁니다. <br /> <br />식약처는 처방량이 과다하다고 보고 경찰에 고발까지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건 빙산의 일각일 뿐, 지난해 의사들이 셀프 처방받은 디아제팜 7만 5천여 개가 제대로 사용됐는지 명확히 확인할 방법은 현재로선 수사밖에 없는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다른 마약류 관리에도 경고등이 켜지긴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마약성 진통제인 옥시코돈과 알프라졸람 등을 한 병원에서 많게는 한 해 15만 개 넘게 셀프처방해 권장량을 10배 넘게 초과했다가, 식약처에 덜미가 잡히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과연 이 약물들이 언제, 어떻게 사용된 건지 의심이 가는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[전경수 / 한국마약범죄학회장 : 유사한 약물을 불법 판매자들이 그런 사람들한테 접근을 해서 팔아요. 재투여하지 않으면 못 견디거든요. 그게 루트입니다, 루트.] <br /> <br />의료진의 '마약류 셀프 처방' 의혹은 어제오늘의 문제는 아니지만, 해마다 셀프 처방 규모는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디아제팜과 알프라졸람의 경우 처방량과 건수 모두 꾸준히 늘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기완 (parkkw061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01305121202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