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중동 리스크' 국제유가 어디까지...수입물가 또 상승 / YTN

2023-10-17 190 Dailymotion

유류세 인하 조치, 연말까지 두 달 더 연장 <br />여섯 번째 연장…유류세 인하 기간 2년 넘기게 돼 <br />가뜩이나 ’세수 부족’…더해지는 정부 재정 부담<br /><br /> <br />역대 최대 규모 세수 부족에도 정부가 어제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를 대로 오른, 그런데도 더 오를 것 같은 국제유가가 서민경제에 부담되고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. <br /> <br />덩달아 우리나라 수출입물가도 석 달째 오름세를 그리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취재앤팩트, 오늘은 국제유가 등락이 각국 정부와 시민들의 지갑 사정에 미치는 영향을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부 기자 연결돼 있습니다. 나연수 기자! <br /> <br />이스라엘-하마스 간 확전으로 국제유가 전망에 불확실성이 더해지면서 정부가 결국 유류세 인하 기간을 한 차례 더 연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장 조치가 벌써 여러 번 이어진 거 같은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원래는 이번 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인하 조치와 경유·천연가스 유가연동보조금이 연말까지 한시 연장됩니다. <br /> <br />앞서 정부는 2021년 11월 6개월 한시 시행으로 유류세 인하를 시작했는데, 이번이 여섯 번째 연장이고요. <br /> <br />유류세 인하 기간은 2년을 넘기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서민 기름값 부담을 덜고 물가를 잡기 위해 고심 끝에 내린 결단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가뜩이나 '구멍 난 지갑'을 들고 있는 정부로서는 재정 부담이 더 커지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도대체 국제유가가 언제까지, 또 어디까지 오를 것이냐 하는 것이죠. <br /> <br />이런저런 시나리오들이 나오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국제통화기금, IMF는 이스라엘-하마스 간 무력 충돌 사태로 국제 유가가 10% 상승한다면 내년 글로벌 생산량은 0.15%p 줄고, 물가는 0.4%p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블룸버그 통신의 경제연구소인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이란이 원유 증산을 철회한다면 1배럴에 4달러 상승, 분쟁이 레바논과 시리아 등으로 확산한다면 8달러 상승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경우 세계 GDP는 0.3%p 떨어지고 물가는 0.2%p 오르리라고 봤습니다. <br /> <br />만약 이스라엘과 이란이 직접 충돌한다면? <br /> <br />그야말로 최악의 시나리오인데요, <br /> <br />국제 유가가 1배럴에 150달러 선을 넘어서며 내년 세계 물가는 1.2%p 오르고, 경제 성장률은 1%p 하락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입물가지수도 올랐다고 하는데, 역시 국제유가 영향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한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연수 (ysn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01713382915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