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태권도가 일본 무술?' 오류 무성한데…저조한 시정성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는 한국 문화와 역사를 사실과 다르게 소개하는 외국 사이트에 시정을 요구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016년부터 매년 10억 원을 들여 운영하고 있는데, 신고된 오류 중 바로잡힌 비율은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습니다.<br /><br />신현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독일 출판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중국 관련 서적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표지에 등장하는 남성, 조선시대 관료복을 입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 외국 기사는 "한국인들은 개고기가 기관지 질환에 좋다며 보신탕으로 코로나를 잘 이겨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"고 잘못된 정보를 실었습니다.<br /><br />태권도를 일본 무술로 소개하는가 하면,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되어 있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한국에 대한 왜곡된 정보를 바로잡고자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인 해외홍보문화원은 2016년부터 한국바로알림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류정보 신고가 접수되면 직접 서한을 보내 시정을 요구하는데, 강제성이 떨어져 시정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해당 정책이 시작된 이후 접수되는 신고 건수는 매년 수백 건, 많게는 수천 건입니다.<br /><br />운영 첫 해 40%까지 치솟던 시정률은 지난해 20% 아래로 반토막 났습니다.<br /><br />반면 매년 예산 10억 원이 쓰였고, 전담 인력은 오히려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해외문화홍보원 외에도 각국 한국문화원과 외교부 재외공관들 간 협력이 두터워져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오류시정 업무 자체가 소관이 있다기보다는, 그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잘못된 게 있으면 시정하는 게 곁가지로 당연히 추가되는 업무라고 생각하고 있거든요."<br /><br /> "기관 간 협조체제가 여전히 여러 번 문제가 제기됐음에도 불구하고 미흡합니다. 민간기구까지도 긴밀히 협의해서 함께 공동보조를 맞추면서 대처하면 훨씬 더 효과적으로 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지 않겠는가…"<br /><br />온라인 공간 속 잘못된 정보들은 역사 왜곡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만큼 효과적인 시정조치를 이끌어낼 묘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. (hyunspiri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