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진에 군 숙소 '흔들'…군 시설물 내진보강 미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동해안에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지진 대비에 대한 경각심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동해안 군부대 시설물 10개 중 3개 꼴로 아직 내진 설계가 안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다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담벼락에 금이 가고, 기둥 타일이 떨어져나갔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7년, 지진으로 인해 한 군부대에 피해가 발생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언제 날지 모르는 지진의 위험에 노출돼 있는 건 군도 예외가 아닙니다.<br /><br />특히 우리 동해상에는 지난 5년간 규모 2.0 이상의 지진이 70건 넘게 발생했는데, 동해안 군부대 시설물 가운데 내진 설계가 미비한 것들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동해안 지역 여단급 이상 군 부대에서 내진설계 대상인 시설물은 총 780동.<br /><br />이 가운데 32.8%는 내진 설계가 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내진설계가 안 된 건물 중에는 장병들이 잠자고 식사하는 숙소와 식당도 포함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육해공군과 해병대로 나누어 보면, 육군의 비내진설계 건물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국방부는 건축법이 개정된 2017년 이전에 지어진 시설물도 내진설계를 보강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지난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보강 작업을 해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대체 시설은 물론 2년에 이르는 공사 기간도 필요하다 보니 내진 보강 속도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우선 순위에서 밀려 최근 3년간 예산 투입이 되지 않은 동해안 지역 공군 부대들도 있는 실정인 만큼 추진에 보다 힘이 붙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 "작전 수행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국가가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 역시 기본 책무이다, 이렇게 생각합니다. 시설물의 안전 보장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장병들의 생명권과도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…"<br /><br />국방부는 오는 2035년까지 내진 보강을 마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다현입니다. (o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