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, 이번엔 배터리 핵심 '흑연' 수출통제…"핵심광물 대책 시급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중 갈등의 불똥이 이번에는 흑연으로까지 번지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수출통제 강화에 맞서 이차전지의 핵심 원료인 흑연의 수출을 통제하겠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핵심광물에 대한 국가 전략을 새롭게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베이징 임광빈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주 일대일로 정상포럼에서 "일방적인 제재와 경제 억압, 디커플링과 공급망 단절에 반대한다"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<br /><br /> "다른 사람의 발전을 위협으로, 경제적 상호의존을 위험으로 보는 것이 스스로 발전을 빠르게 하지 않습니다."<br /><br />친중 성향의 국가 정상들이 한데 모인 자리에서 인공지능 AI칩을 비롯해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 조치를 추가로 발표한 미국을 직격한 것입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스마트폰과 전기차 베터리 등에 사용하는 이차전지의 핵심 원료, 흑연을 수출통제 대상 품목에 추가하는 것으로 미국의 조치에 맞불을 놓았습니다.<br /><br />지난 8월 반도체 소재 핵심 광물인 갈륨과 게르마늄에 이어 흑연도 정부의 사전 승인 없이는 수출을 할 수 없도록 하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통제 시점은 오는 12월 1일부터. 미중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지난해 중국에서 90% 넘는 흑연을 수입해 온 우리나라에도 불똥이 튈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수출 통제가 시작되기 전 최대한 재고를 확보하는 한편, 공급 다변화도 모색하겠다는 방침이지만 타격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<br /><br />국내 흑연 재고량은 45일치에 불과한 가운데,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서는 최소한 1~2년이 걸린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중국이 앞선 갈륨과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행할 때도 첫 달인 지난 8월의 수출량은 제로를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유럽연합 EU에 따르면 주요 산업에 쓰이는 핵심 원자재 51종 중 33종은 중국이 세계 1위 시장을 차지하는 상황.<br /><br />미중 갈등 속 중국이 광물 무기화를 노골화하는 가운데, 핵심 광물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국가전략을 다시 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#미국 #중국 #흑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