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갑은 얇아지는데…"사 먹기도 해 먹기도 비싸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요즘 TV만 켜면 물가가 올랐다는 뉴스가 넘쳐납니다.<br /><br />가뜩이나 지갑은 얇아져서 쓸 돈은 줄어드는데, 아무리 허리띠를 졸라매도 돈을 아예 안 쓰고 살 수도 없는 노릇인데요.<br /><br />요즘 물가 상황 어떤지 오늘 서울 인왕시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듣겠습니다.<br /><br />서형석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쉬는 날이 아닌 평일인데도, 이곳은 장을 보러 온 사람들의 발걸음이 아침 일찍부터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가격도 슈퍼나 마트보다 저렴한 데다, 주차장도 잘 갖춰져 있고, 내부 통로도 넓은 편이어서 사람들이 계속 찾고 있는 건데요.<br /><br />그런데 장을 보러 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요즘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모양입니다.<br /><br /> "오늘 할아버지 기일이어서 시장 일찍 나왔어요. 작년 같은 경우는 보통 15만~16만원 선이었는데 지금 20만원 넘은 것 같아요. 고기도 많이 비싸고요. 과일 비싸고요."<br /><br />실제 최근 발표되고 있는 각종 지표들을 살펴보면 한숨이 얼마나 깊을지 알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2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약 383만원으로 작년보다 3% 가까이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세금이나 이자 내고 쓸 수 있는 돈이 실제로 줄어들었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반면에 먹거리 물가를 살펴보면 같은 기간 각종 식재료 등을 포함한 가공식품 물가와 외식물가 모두 7%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대표적인 서민음식으로 꼽히는 짜장면과 칼국수, 요즘 서울에서는 5천원 밑으로 사 먹을 수가 없습니다.<br /><br />짜장면만 해도 평균 7,069원으로 지난달 처음 7천원이 넘었고, 칼국수는 8,962원입니다.<br /><br />본격적인 김장철을 앞두고 있는데 채소와 재룟값도 만만치가 않습니다.<br /><br />소매기준으로 배추 한 포기 값은 5,881원으로 작년보다 18% 넘게 올랐고요. 고춧가루는 12%, 대파는 18%, 쪽파는 22% 넘게 가격이 오른 상황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도 손 놓고 있는 건 아니죠.<br /><br />물가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우선 채소 같은 경우는 평소 정부가 물량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물가 관리가 비교적 용이한 편이라 할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정부는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가용 물량 2,900t을 방출하고, 마트나 전통시장 등에서 김장재료 할인행사를 지원합니다.<br /><br />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건 다음 달부터가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이 밖에도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외식업계, 가공식품업계와 릴레이 간담회를 열고 물가 안정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은 설탕 수급 상황 점검에 나섰는데, 제당업계는 내년 초까지 가격 인상을 최대한 억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앞으로 일은 장담이 어렵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전달보다 0.4% 오르며 3달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서비스나 제품 생산에 드는 비용이 그만큼 올랐다는 뜻으로 시간차를 두고 결국 소비자물가도 끌어올릴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최근 중동 상황은 국제유가 불안을 부추기고 있어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를 낮추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서울 인왕시장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#소비자물가 #생산자물가 #가처분소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