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M엔터 시세조종 의혹 관련 개입 여부 집중 추궁 <br />임원진 개인 아닌 ’법인’ 처벌 여부도 검토 <br />이복현 "취득한 경제 이득 박탈이 가장 큰 목적" <br />법인 처벌 시 카카오뱅크 대주주 적격성에 타격<br /><br /> <br />카카오가 SM 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의혹에 휩싸여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감독원이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을 비롯한 임원진을 줄소환한 데 이어 법인 처벌까지 시사하며 활시위를 당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나연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지친 기색으로 금융감독원을 나선 건 새벽 1시 반. <br /> <br />[김범수 / 카카오 미래 이니셔티브 센터장 : (어느 부분을 중점적으로 소명하셨는지요?) 성실히 조사에 임했습니다.] <br /> <br />불과 12시간 뒤, 이번에는 홍은택 카카오 대표와 김성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표가 다시 불려 나와 조사실로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 임원진을 상대로 한 일련의 조사는 지난 2월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 당시, 카카오가 2천4백억 원을 투입해 SM 주가를 끌어올린 사실이 있는지, 이 과정에 누가 어디까지 개입했는지가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이복현 금감원장은 카카오 법인에 대한 처벌 가능성까지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법인에 대한 처벌 여부도 적극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 중이라며, 이번 주 안에 이 사건을 검찰에 송치하게 될 때 입장을 내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경제적 이득을 노린 범죄이니만큼, 취득한 이득을 박탈하는 것이 수사의 가장 큰 목적이라고도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복현 / 금융감독원장(지난 17일 국정감사) :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지목받는 것 중에서 카카오 내부의 임직원들의 다소 국민 눈높이에 안 맞는 주식 처분이라든가 이런 것들도 있고 관련해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보니까….] <br /> <br />카카오 법인이 재판에 넘겨져 벌금형 등을 받게 되면, 지분 27.17%를 소유하고 있는 카카오뱅크 대주주로서의 입지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터넷은행 특례법을 보면 대주주는 최근 5년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, 공정거래법 등 위반으로 벌금형 이상 처벌을 받은 사실이 없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사법리스크로 연일 신저가를 경신하던 카카오 주가는 창업자 소환으로 바닥을 찍고 반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대주주 적격성 이슈가 붙은 카카오뱅크는 개장 직후 급락해 종일 고전하다 보합으로 장을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YTN 나연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연수 (ysn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02421322262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