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럼피스킨병'이 확산하면서 경북 청도의 명물인 소싸움 경기가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북은 전국에서 소 사육두수가 가장 많은 지역인 만큼 감염병이 확산하지 않도록 안간힘을 쏟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근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싸움소로 붐비던 외양간은 텅 비었고 오가는 사람도 찾기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굳게 닫힌 매표소 문을 지나서 경기장 안까지 들어가 봤지만, 분위기는 썰렁합니다. <br /> <br />바이러스성 소 피부염, '럼피스킨병'이 확산하자 운영을 중단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이번 주말 예정돼 있던 소싸움 경기는 물론, 싸움소들의 적응 훈련까지도 혹시 모를 감염 위험에 모두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한 주만 쉬어도 손실이 수억 원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우선 3주만 휴장하기로 했지만, 감염 상황에 따라서는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준범 / 청도공영공사 전략기획실장 : 가축을 집합시키는 그런 부분이 문제가 될 것 같고, 그래서 이게 언제까지 중단한다고 저희가 정할 수가 없고, 가축 방역 지금 대책을 보고 거기 따라서….] <br /> <br />럼피스킨병이 확산하면서 한우 82만 마리 등 소 사육 두수가 가장 많은 경북에선 그야말로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가축시장 14곳을 모두 폐쇄했고, 24시간 비상체계를 가동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모기를 비롯해 감염 매개체가 되는 흡혈 곤충 방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철순 / 경상북도 동물방역과장 : 현재 백신은 저희 도까지 도달은 하지 않아서, 일단은 차단 방역이죠. 매개체가 흡혈 곤충이기 때문에 곤충 구제에 대해서 농가들하고 저희 행정에서 집중하고 있고요….] <br /> <br />충북과 강원에 이어 호남까지 럼피스킨 병이 확산하면서 경북지역 방역 당국과 축산농가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근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전대웅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근우 (gnukim05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102520293739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