희생자 159명이 발생한 '이태원 참사'가 사흘 뒤면 꼭 1년을 맞습니다. <br /> <br />참사 1주기를 앞두고 참사가 일어난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서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애도하기 위한 추모 설치물이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 윤웅성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예, 서울 이태원역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궂은 날씨에도 꽤 많은 시민들이 온 것 같은데요. <br /> <br />현장 상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약한 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추모 설치물을 보러 온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처음 공개된 설치물을 둘러보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추모 설치물은 제 뒤편 벽 쪽 게시판과 표지판으로 구성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좁은 골목에서 참사가 일어난 만큼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물을 이렇게 최대한 길가에 가깝게 조성했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 추모 공간의 이름인 '10·29 기억과 안전의 길'이 적힌 표지판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참사가 일어난 10월 29일을 기억하고, 안전한 사회를 만들자는 의미가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옆에는 게시판 3개가 잇따라 부착돼 있는데요, <br /> <br />이태원 참사에 대한 설명과 함께, 시민들이 직접 작성한 추모 메시지와 사진이 붙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양한 언어로 적힌 문구도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이태원 참사로 다양한 국적의 희생자가 발생한 만큼, 이들이 사용했던 14개 언어로 '그날의 밤을 기억하는 모두의 오늘이 안녕하기를 바란다'는 문장을 번역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공개된 추모 설치물은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과 시민대책회의, 이태원 관광특구연합회가 힘을 모아 조성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가족과 참사 생존자뿐만 아니라, 상인 등 시민들도 함께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앞으로도 게시판 내용은 시민들과 소통을 거쳐 주기적으로 교체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유족 등은 추모 설치물은 이태원 참사를 기억하기 위한 추모 공간을 중간 정비하는 성격이라며, 국회에서 이태원 참사 특별법이 제정돼 추모 공간이 최종 조성되기 전까지 임시로 유지할 거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서울 이태원역에서 YTN 윤웅성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김자영 유준석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웅성 (yws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02611503855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