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미 '빅테크'도 공들이는 한글…토종 AI 경쟁력은

2023-10-29 1 Dailymotion

미 '빅테크'도 공들이는 한글…토종 AI 경쟁력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세계적으로 AI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, 국내 상황은 어떨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AI 서비스 특성상 언어와 문화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, 토종 서비스들의 경쟁력도 주목할 만한데요.<br /><br />미국 '빅테크'도 한글에 공들이고 있어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입니다. 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약 5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외국어 학습 앱 '듀오링고'에 따르면, 2022년 가장 다운로드를 많이 받은 언어 앱 1위는 영어, 2위는 스페인어였고, 한국어는 7위였습니다.<br /><br />아시아 국가 중 일본 다음으로 많았습니다.<br /><br />듀오링고는 K-콘텐츠 확산 등에 힘입어 한국어가 아시아 언어 중 외국인이 가장 많이 공부하는 언어가 될 가능성을 전망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세계적으로 한국어 수요가 늘어나는 데다, 생성형 AI 서비스는 유사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 핵심인 만큼, 국내 토종 AI 서비스 업체들의 경쟁력도 주목할 만합니다.<br /><br />네이버는 지난 8월 '하이퍼클로버X'를 출시했습니다.<br /><br />기업용 B2B 인공지능 플랫폼에 '하이퍼클로바X'를 적용해 수익화를 추진하고, 일반 고객들이 사용하는 B2C 서비스에도 하이퍼클로바X를 적용해 사용자 경험도 향상시킬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대화 형식으로 검색창에 질문을 하고, 그러면 이제 생성형 AI가 검색된 정보를 기반으로 요약된, 좀 더 잘 한 번에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고…(글을) 쓰실 때 창작자가 쓸 법한 문장들을 빠르게 생성을 해줘서…"<br /><br />카카오는 합리적 비용에 초점을 맞춘 '코GPT 2.0'을 준비 중이고, 엔씨소프트는 게임업계 최초로 한국어 전용 거대언어모델인 '바르코'를 자체개발했습니다.<br /><br />SK텔레콤과 KT 등도 자체 개발한 생성 AI 서비스로 해외에 진출한다는 계획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생성 AI 발달로 언어의 벽이 점점 무너지면서, 한글이 국내 AI 시장의 방어막이 되기는 점점 더 어려운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구글은 자사가 주최하는 전 세계 프로그램 개발자 회담, '구글I/O'에서 한국어를 외국어 중 가장 먼저 AI 챗봇 '바드'에 적용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만큼 한글 서비스에 공을 들이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미 기존 서비스보다 품질이 향상된 AI 기반 해외 통·번역 서비스들이 국내에 상륙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앞으로 거의 모든 서비스, 제조업 등에 필수가 될 AI.<br /><br />미국 등 해외 AI 기업들에 국내 시장이 무차별적으로 잠식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, 국내 기업들의 선전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DJY@yna.co.kr<br /><br />#토종 #AI #한글 #K-콘텐츠 #구글 #네이버 #카카오 #엔씨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