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레드라인' 경고한 이란…신중동전쟁으로 확전하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란 대통령의 '레드라인을 넘었다'는 경고 발언이 이번 전쟁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되면서 신중동전쟁으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전략적 발언이란 지적도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미국의 개입과 주변국의 선택이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황정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에서 본격 지상전에 시동을 걸면서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이 소셜미디어에 올린 경고 메시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.<br /><br />그가 올린 '레드라인을 넘었다'는 메시지가 전쟁에 개입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되면서 신중동전쟁이 발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진 겁니다.<br /><br />이란은 중동에서 하마스를 포함한 반이스라엘, 반미 세력의 후원자이자 배후로 지목됩니다.<br /><br />서방에서 '악의 축'으로 불리는 이 세력에는 이라크 시아파 무장정파와 시리아 정부, 레바논 헤즈볼라, 예멘 반군 후티에 이르는 '시아파 벨트'와 하마스가 포함됩니다.<br /><br />이 세력이 가세하면 자칫 5차 중동전쟁으로 번질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같은 날 이란 외무장관은 CNN에서 "우리는 전쟁이 번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"며 전쟁 개입 가능성에 선을 긋는 듯한 태도를 취했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 발언에 비해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해석되는데, 자신들이 지원하는 무장세력 배후에서 대리전을 지휘하면서, 상대와 주도권 경쟁을 벌여온 전형적인 이란의 전략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이스라엘이 국경을 마주한 시리아 내 혁명수비대와 레바논 헤즈볼라 세력에 대한 공세를 높이면 이란 진영과의 신중동전쟁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개입 정도와 이슬람권 지도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튀르키예의 선택에 따라 확전의 향배가 좌우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황정현입니다. (swee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