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생산량 급감' 욕지도 고구마·우도 땅콩…새 품종 개발로 위기 돌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남 통영 욕지도는 고구마 생산지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.<br /><br />그런데 최근 '고구마 바이러스'가 발생하면서 생산량이 절반 이상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땅콩으로 유명한 제주도 우도는 종자가 퇴화해 생산량 급감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농업기술진흥원이 다양한 우량 품종 개발과 보급에 안간힘을 쏟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휘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황토빛 흙밭에서 수확 작업이 한창입니다.<br /><br />지역 특산물인 해풍 맞은 욕지도 고구마입니다.<br /><br />땅이 척박한 욕지도는 심을 수 있는 작물이 많지 않아 상대적으로 고구마 재배에 집중됐습니다.<br /><br />식감이 밤과 비슷하고 특유의 단맛으로 찾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지역 효자 상품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최근 욕지도에 불어닥친 고구마 바이러스병 탓에 재배 면적이 급감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수확량이 최근 40~50%까지 떨어지고 있거든요. 내년 씨고구마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."<br /><br />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욕지도에서 고구마를 재배하는 농가는 2020년 220농가, 재배 면적은 75㏊에 달했지만 2023년 현재 150농가, 35㏊로 급감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생산량은 900t에서 400t으로 3년 새 절반 이상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방법이 병이 없는 모종, 즉 '무병묘'를 심는 겁니다.<br /><br />바이러스에 걸리지 않은 고구마 모종을 심을 경우 일반 모종보다 상품성과 수량이 20~30% 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비슷한 현상이 발생하는 곳 중에는 제주 우도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도 땅콩은 20년 넘게 같은 품종을 재배한 탓에 종자가 퇴화하면서 최근 생산량 급감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농촌진흥청이 제주도 농업기술원과 협업해 우도 재래 땅콩 특성은 살리고 수량성, 저장성 등을 높인 신품종 땅콩을 개발해 농가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오래된 종자나 종묘, 연작으로 인해서 바이러스에 오염되면 생산량이나 품질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. 이러한 바이러스를 제거한 무병묘 공급을 통해서 생산량이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…"<br /><br />농업기술진흥원은 우량종자와 종묘 공급을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. (take5@yna.co.kr)<br /><br />#욕지도_고구마 #우도_땅콩 #무병묘 #종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