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간이 지날수록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공무원 사회 역시 육아휴직 내기는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남성 공무원의 경우, 육아휴직 대상자여도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비중은 여성보다 훨씬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권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초등학생 자녀를 둔 공무원 A 씨는 지난해 육아휴직 대상이었지만, 사용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부인도 같은 공무원이지만 한 명만 쓰는 게 좋을 것 같다고 결론 내렸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7급 공무원 : 남자한테는 '왜 네가 휴직을 하냐. 애 엄마는 뭐 하고' 이런 거고. 여자는 (육아휴직) 들어가면 당연하다고 생각을 하는 경향이….] <br /> <br />법적으로 공무원은 만 8세 이하나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가 있다면 남녀 누구나 1년 유급에 2년 무급으로 최대 3년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앙부처 등에서 일하는 국가공무원의 육아휴직 사용 현황을 살펴봤더니, <br /> <br />지난해 육아휴직을 쓸 수 있는 남성 공무원 가운데 실제 육아휴직에 들어간 경우는 10명 중 1명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여성 공무원은 35%를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국가공무원이어도 육아휴직 앞에선 남녀 차이가 컸다는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[용혜인 / 기본소득당 의원 :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육아휴직을 쓰는 데도 부담이 덜한 공직사회에서도 여성과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률에 차이가 있었다…. 육아와 돌봄은 여성이 해야 한다는 편견이 남아있는 것도 사실이고요.] <br /> <br />직종별로는 차이가 더 컸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청과 경찰청의 경우 남성 대상자 가운데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는 8% 안팎으로 평균보다 낮았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 투입이 잦고 남성 직원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 보니 육아휴직을 쓰는 분위기가 형성돼있지 않은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남성 공무원이 육아휴직을 썼을 때 부딪혀야 하는 경제적 부담 역시 만만치 않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김미정 / 서울시 동부권 직장맘 지원센터 팀장 : 일반 급여로도 부족한데 육아기에는 돈이 더 많이 들어가니까 기저귀니 분유니 해서…. 그런데 (육아휴직 급여 상한액) 150만 원 갖고 일상생활을 하고 육아를 하기에는 되게 부담스럽다.] <br /> <br />우리나라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의 수, 합계출산율은 0.7명대로 OECD 국가 가운데 꼴찌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하지만, 공무원 사회부터 남성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준수 (kjs81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10117084779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