악재 겹친 카카오…이번엔 모빌리티 매출 부풀리기 의혹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카카오의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가 갑질로 공정위 제재를 받은 데 이어 분식회계 의혹으로 금융감독원 감리를 받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시세조종 의혹으로 수사를 받고 있는 카카오에 계속해서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박지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카카오의 택시 전문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콜 몰아주기'를 한 사실이 드러나 지난 2월 과징금을 부과받았던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경쟁사 가입 택시의 콜을 차단한 혐의로 또 한 번 공정위 제재 대상이 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번엔 매출을 부풀리기 위해 분식회계를 했다는 의혹에 휩싸였습니다.<br /><br />카카오모빌리티는 '가맹계약'에 따라 자회사 케이엠솔루션을 거쳐 가맹택시로부터 운행 매출의 20%를 로열티로 받아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다시 '업무제휴계약'에 따라 16~17%를 가맹택시에 대가로 지급하는데, 결국 실제 이익은 3~4%만 남지만, 재무제표상 매출을 20%로 집계해왔습니다.<br /><br />금융감독원은 두 계약이 동일한 계약인 것으로 보고, 카카오모빌리티가 상장을 앞두고 이중계약을 통해 고의적으로 매출을 부풀렸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카카오모빌리티는 입장문을 통해 "이익은 그대로인데 매출만 높아지는 경우 오히려 회사의 가치가 하락한다"며, "오해에서 비롯된 무리한 해석"이라고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SM엔터 시세조종 혐의로 주요 경영진이 수사를 받고 있는 카카오에는 또 다른 악재가 겹쳤습니다.<br /><br />본사부터 자회사까지 모조리 구설수에 휘말리자, 카카오 전반에 내부통제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사전적으로 아무리 잘해도 벗어나는 경우가 있죠. 그런 경우 사후적인 제재가 있어야 되는데…임원 자격을 배제한다든지 강력한 조치가 있어야 내부통제 시스템에 순응을 하지 않을까…."<br /><br />그동안 금융당국이 시장 교란 행위를 엄단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히 드러내왔던 만큼, 카카오에 대한 압박 수위는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. (zwoonie@yna.co.kr)<br /><br />#카카오T #김범수 #금융감독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