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년 만에 방중한 호주 총리가 시진핑 주석과 리창 총리 등 중국 수뇌부와 잇따라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2016년부터 이어져 온 총성 없는 전쟁에 마침표를 찍고 중단됐던 연례 총리 회담도 복원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베이징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손을 맞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1973년 호주 총리의 첫 중국 방문과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는 만남입니다. <br /> <br />[시진핑 / 중국 국가주석 : 중국과 호주의 관계는 새로운 50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호주 총리가 중국을 찾은 건 2016년 이후 처음, 7년 동안 양국은 총성 없는 전쟁을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2017년 중국계 재벌이 호주 정치권에 58억 원을 뿌렸다는 폭로와 함께 선거 개입 의혹이 불거졌고, <br /> <br />2018년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화웨이 때리기에 호주가 동참하면서 양국 관계는 틀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2020년 호주가 코로나19 발원지 국제 조사를 촉구하자 중국은 대대적 무역 보복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브론윈 비숍 / 호주 전 하원의장 (2020년) : 중국은 침략자입니다. 호주를 '속국'으로 보려고 합니다.] <br /> <br />[후시진 / 전 환구시보 편집장 (2020년) : 호주는 중국 신발 밑창에 달라 붙은 껌입니다. 잘 안 떨어져요.] <br /> <br />그러나 호주산 석탄 금수 조치는 중국 내 극심한 전력난이라는 부메랑으로 되돌아 왔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사회에 '중국 위협론'을 자극해 오커스(AUKUS)와 쿼드(Quad) 출범 등을 앞당겼단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서로 상처만 남긴 싸움을 뒤로한 채 최근 양국이 관계 회복에 나선 건 경제적 공생 관계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호주 수출의 30%를 차지하는 중국, 반대로 중국은 철광석을 비롯한 주요 원자재 수입을 호주에 의존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앤서니 앨버니지 / 호주 총리 : 우리 두 나라 사이의 강한 관계는 미래에도 이익이 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앨버니지는 시진핑에 이어 리창 총리와도 만나 2016년 이후 중단된 연례회담도 복원키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110800312457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