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보가 국내에서 138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. <br /> <br />KT는 홈페이지에 다음 달 15일 '115전보 서비스'를 종료한다고 공지하고 통신 시장 환경변화로 전보 이용량이 매년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며 누적 적자 증가로 종료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에서는 1885년 한성전보총국이 서울에서 인천 간 첫 전보를 보냈고, 광복 이후에는 체신부와 KT 전신인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서비스가 이관돼 서비스가 계속돼왔습니다. <br /> <br />전보 서비스가 종료됐지만 우정사업본부는 전보와 마찬가지로 오프라인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'경조 카드 서비스', 메시지와 돈을 같이 보내는 일종의 전신환 서비스인 '경조금 배달 서비스'를 운영 중입니다. <br /> <br />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"고 설명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KT는 2018년 4월 8일 자로 국제 전보 서비스를 종료한 바 있다. <br /> <br />전보는 원거리에 있는 발신자와 수신자가 전신을 매개로 소통하던 방법으로, 우편보다 메시지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 19∼20세기 주요 통신 수단으로 활용됐다. <br /> <br />발신자가 관할 우체국에 전화로 메시지를 부르면 가입전신(텔렉스)으로 수신자 인근 우체국에 전달했고, 사환이 이를 배달했다. 단어나 기호마다 보내는 데 돈이 들었기 때문에 인칭대명사나 형용사를 뺀 최소한의 줄임말로 보내는 게 특징이다. <br /> <br />국내에서는 1885년 한성전보총국이 서울∼인천 간 첫 전보를 보냈으며, 광복 이후에는 체신부와 KT 전신인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서비스가 이관돼 역사를 이어왔다. <br /> <br />1990년대에 이르러 전자우편(이메일)과 휴대전화가 보급되면서 이용량이 급격하게 줄었고, 2010년대부터는 경축용이나 선물용으로 명맥을 유지해왔다. <br /> <br />전보 서비스는 세계적으로도 종료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. <br /> <br />미국 네트워크 기업 웨스턴 유니온은 2006년 전보 서비스를 종료했으며, 독일 우체국도 올해 1월 1일부로 서비스를 중단했다. <br /> <br />다만 전보를 대체할 수 있는 유사 서비스는 남아있다. <br /> <br />우정사업본부는 전보와 마찬가지로 오프라인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'경조 카드 서비스', 메시지와 돈을 같이 보내는 일종의 전신환 서비스인 '경조금 배달 서비스'를 운영하고 있다. <br /> <br />KT도 115전보 서비스 종료 안내문에서 이와 같은 "우체국 대체 서비스를 이용해달라"고 공지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상희 (sa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11510192741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