높은 금리에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아파트 매매가 상승세는 주춤해졌지만, 전셋값은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하반기 역전세난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, 오히려 계약을 연장하는 비중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3월 입주를 시작한 서울 강남구에 있는 아파트 단지입니다. <br /> <br />전용면적 84㎡ 전세가 최근 14억 원에 거래됐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초만 해도 9억 원대였는데, 불과 10개월 만에 5억 원가량 뛰어 최고가를 경신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익명 / 강남구 공인중개사 : 이 일대 전세가 33평은 14억 원 정도 나와요. 전반적으로 추세가 그렇고 4단지 같은 경우에는 특히 매물이 없어요. 입주가 거의 다 마무리되다 보니까 ….] <br /> <br />인근에 6,000여 세대가 입주를 앞둬 전셋값이 앞으로 더 떨어질 거라 예상됐지만, 지금은 매물을 찾기도 어려울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 5월 말 상승 전환한 이후 6개월째 상승세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하반기 전셋값이 크게 떨어져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역전세난 우려가 제기됐지만, 시장 분위기가 달라진 겁니다. <br /> <br />높은 금리 탓에 위축된 매수 심리가 전세 수요로 바뀌면서 늘어난 게 이유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집을 재계약할 때 보증금을 5% 이내에서만 올릴 수 있는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비중은 상반기보다 오히려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[여경희 /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: 실수요 위주 시장인 전세는 수요가 유지되면서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요. 집값 상승 피로감과 역전세 완화로 전세시장에 머무는 수요가 늘었고, 전·월세 전환율 상승으로 월세 부담이 커지면서 전세 회귀 움직임도 보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서울을 중심으로 내년부터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지역은 한동안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질 거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윤해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 이승주 <br /> <br />그래픽: 홍명화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11723285872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