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한국 기하학적 추상미술 재조명...백 년 전부터 움튼 독창성 / YTN

2023-11-18 9 Dailymotion

단색화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던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을 재조명하는 대규모 전시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김환기, 유영국 등 거장의 초기작을 만날 수 있고, 윤형근, 이승조 작가의 추상화 등이 반세기 만에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교준 기자가 둘러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점과 선, 원과 사각형 등 단순한 형태와 화면의 평면성을 강조하는 기하학적 추상미술. <br /> <br />국립현대미술관이 1년에 걸쳐 공을 들여 192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작가 47명의 추상미술 150여 점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엄격한 기하학적 형태보다 자연의 형태를 단순화한 거장 김환기, 유영국의 작품과 함께 '침묵의 작가' 윤형근 작가의 작품 중 그동안 행방이 묘연했던 추상화가 이번에 첫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유의 어두운 청다색 색조가 짙게 깔린 그의 추상회화 대표작들의 뿌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세상을 떠난 박서보나 하종현 등 단색화 화가들의 기하학적 시도도 엿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전시는 시인 이상이 디자인한 잡지 표지나 근대기의 영화 포스터를 통해 그 시도의 출발점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단색화에 밀렸던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가치를 재조명합니다. <br /> <br />[전유신 /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: 기하학적 추상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그것이 이후에 한국 미술의 여러 가지 모습들, 특히 한국 추상을 대표하는 단색화 등에 어떻게 담겨 있는지 이런 지점을 한번 살펴보시는 것도 흥미로운 감상의 포인트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1969년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이 당대 추상화가들에 미친 영향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주시대의 개막에서 영감을 받은 한묵 작가의 '금색운의 교차'와 변영원 작가의 '합존 97번' <br /> <br />이승조 작가가 '제4회 오리진' 전에 출품했던 작품은 53년 만에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전시는 약 백 년 전부터 전위의 상징으로 건축, 디자인 등과 호흡하며 독창성을 확장해온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궤적을 보여줍니다. <br /> <br />YTN 이교준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이현오 <br />그래픽 : 박유동 <br /> <br />■ 전시 정보 <br /> <br /> 2023년 11월 16일~2024년 5월 29일 <br />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교준 (kyoj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111907061334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