모바일 감염병 아시나요…'부고 문자' 신종 스미싱주의보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앞으로는 지인에게서 스마트폰으로 부고 문자가 오더라도 확인 없이 링크를 바로 누르지 마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부고 문자를 받은 사람이 링크를 클릭하면 스마트폰이 해킹돼 저장된 연락처로 같은 문자가 재전송되는 신종 스미싱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40대 남성 A씨는 지난 28일 새벽 3시쯤 지인으로부터 부친상을 알리는 문자를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저장된 연락처로 문자 메시지가 왔기 때문에 별 의심 없이 링크에 접속했습니다.<br /><br /> "처음 받았을 때는 아는 동생이니까 그냥 당연히 정말 부고인 줄 알고 확인을 누른 건데…."<br /><br />그런데 더욱 당황한 건 이 문자 메시지의 주인공인 30대 B씨였습니다.<br /><br />새벽 시간에 조의를 표하는 연락이 끊이지 않아 스마트폰을 확인했는데 자신도 모르는 사이 수백 건의 허위 부고 문자가 보내진 겁니다.<br /><br /> "이거를 보낸 제가 이상한 상황이 될 것 같긴 한데 그렇다고 연락을 해서 이게 스미싱이다 하기에는 인원수도 너무 많고 불특정 다수여서 해명하기가 너무 힘들었습니다."<br /><br />얼마 전 지인에게 허위 부고 메시지를 받고 내용을 보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깔았는데 그때 휴대전화가 해킹돼 스미싱에 이용된 겁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스마트폰을 해킹해 저장된 연락처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의심 없이 열어본다는 점을 노렸습니다.<br /><br />해킹에 성공하면 연락처에 저장된 사람들에게 같은 허위 부고 문자를 보내기 때문에 모바일 감염병이라고도 불립니다.<br /><br />현재는 문자를 보내는 행위까지만 확인됐지만 나중에는 범죄 집단이 해킹한 스마트폰을 마음대로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향후에 이 해킹 어플을 삭제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추가적인 금전 피해가 생기거나 다른 범죄에 악용될 수 있는 그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현재까지 해당 스미싱은 안드로이드 기종에만 통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링크에 접속하지 않는 게 가장 좋지만 만약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했을 경우 바로 삭제를 하거나 휴대전화를 초기화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. (idealtype@yna.co.kr)<br /><br />#스미싱 #부고문자 #해킹 #스마트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