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일상 바꾼 챗GPT 1년…활성화에 규제 필요성 제기

2023-11-30 0 Dailymotion

일상 바꾼 챗GPT 1년…활성화에 규제 필요성 제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생성형 AI '챗GPT'가 나온지 딱 1년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출시 초기와 달리 이제는 호기심이 아닌 일상 곳곳에서 쓰임새가 넓어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AI 시장의 경쟁이 활성화되면서 폐해를 막을 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일정 확인부터 문서 요약, 창작까지 가능한 '챗GPT',<br /><br />업그레이드가 될수록 업무 편의성이 높아졌다는 평가인데, 이달 초 기능이 더 강화된 '챗GPT4-터보'가 출시됐습니다.<br /><br />기존 'GPT3.5'가 입력할 수 있는 문자가 3천단어에 불과했다면, 300쪽이나 되는 문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매개변수 역시 1조2,500억개로 늘었고, 이미지를 넘어 음성인식도 가능합니다.<br /><br />개발자 없이도 누구나 쉽게 맞춤형 챗봇을 만들 수 있는데, 이를 시장에 내다 팔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사람들이 더 똑똑하고, 더 개인화되고, 당신을 대신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AI를 원한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. 컴퓨터에 요청하면 컴퓨터가 모든 작업을 대신 수행해 줄 것입니다."<br /><br />경쟁이 뜨거우지면서 구글은 한국어와 일본어가 가능한 '바드'를 내놨고, 한국에서는 네이버 '하이퍼클로바X'와 SKT의 '에이닷', KT는 '믿음'을 출시했습니다.<br /><br />아마존도 대규모 언어모델 개발에 열을 올리는 한편 삼성은 갤럭시S24에, 애플은 아이폰16에 생성형 AI를 탑재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현재 번역과 회의록·통화 요약이나 이미지 생성, 광고 카피 제작, 헬스케어 영역에서 일상 전반으로 활용은 더 넓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 "'오픈AI' 올트먼 해고 결정이 그가 개발한 AI의 위험성 때문이라는 얘기가 있었는데요. AI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, 활용도가 커짐에 따라, 폐해를 막고 육성할 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."<br /><br />각국이 AI 선점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일자리 감소에 저작권 문제, 가짜뉴스와 딥페이크 등 부작용이 적지 않아 세계 표준을 정해 공동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오픈AI #챗GPT #생성형AI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