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북한이 9·19 남북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면서 비무장지대 내 감시초소, GP를 복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이에 대응해 우리 군도 GP를 복원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전방 지역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복원 문제로 북한과 대치 중인 비무장지대 내 감시초소, GP는 분단 선인 군사분계선으로부터 2㎞ 반경 안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전협정에 따라 원칙적으로 중화기 반입이 안 되지만 북측은 박격포와 14.5㎜ 고사총 등을, 우리도 이에 대응해 유엔군사령부의 허가를 받아 K-3 기관총 등을 배치하고 있어 우발적 충돌 우려도 큰 곳입니다. <br /> <br />남북은 이 같은 군사적 긴장을 해소하자며 지난 2018년 9·19 군사합의를 통해 우선 감시초소 10곳은 파괴하고, 1곳은 원형만 남긴 채 병력을 철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자 남북의 GP 불균형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초소는 북측이 160여 개, 우리 측이 60여 개를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, 똑같이 11개를 줄이면 우리 측의 감시정찰 측면에서 전력 약화가 더 크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. <br /> <br />[신종우 /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: GP 시설이나 감시 장비 능력 측면에서 북한보다 월등히 앞선 시설이거든요. 그런 차원에서 본다면 동일한 비율로 줄이는 건 잘못된 합의였다고 생각되고요.] <br /> <br />반면 우리 군의 경우 비무장지대 바깥 남방한계선을 지키는 GOP 라인에 삼중 철책과 과학화 경계시스템을 갖춘 병력이 배치된 만큼 북한과 GP 개수를 단순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는 반박도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[양무진 /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: 우리 군은 GP 후방 남방한계선 일대에 이중·삼중의 철조망과 CCTV 같은 과학화된 경계시스템을 갖춘 다수의 GOP 부대가 운용 중이고….] <br /> <br />그런데 최근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이후 남북 합의로 파괴하거나 철수한 GP가 복원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측이 파괴된 GP에 목재 감시소를 세우고 병력과 중화기를 투입하는 정황이 포착되면서, <br /> <br />우리도 원형이 보존된 강원 고성 GP부터 활용하고 나머지 GP는 단계적으로 복원하는 방안이 검토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전하규 / 국방부 대변인 (지난 30일) : 문화재청의 승인을 어느 부분까지 받아야 되는지 이런 것들에 대한 실무적인 논의가 있었던 것이고, 안전진단도 해야 될 사안이라고 생각하고….] <br /> <br />비무장지대의 군사적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민기 (choim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20305344039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