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국내 기술로 개발한 고체 연료 발사체가 국내 기업이 만든 인공위성을 싣고 성공적으로 발사됐는데요. <br /> <br />발사 장소로는 우주 발사체 발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제주가 선택됐죠. <br /> <br />제주도는 이런 장점을 활용해 제주를 우주 산업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고재형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산 우주 발사체가 땅을 박차고 솟아오릅니다. <br /> <br />발사체 앞부분에는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소형 위성이 탑재돼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에서 고체 연료 발사체로 소형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린 건 지리적 이점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김정호 / 한화시스템 항공·우주 부문 사업 대표 : 위성 발사는 가급적이면 적도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 발사하는 게 발사 효율이 가장 좋습니다. 제주도 남단이 저희가 활용하는데 경사궤도, 태양궤도를 발사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위성을 개발한 한화시스템은 옛 탐라대학교 부지인 하원 테크노 캠퍼스에 우주 센터 구축을 추진 중입니다. <br /> <br />오는 2025년까지 17,000여 제곱미터 규모의 건물을 지어 위성 개발과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지역 주민들은 우주 산업 관련 기업 이전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강창주 / 서귀포시 하원 마을회 회장 : 굴뚝 없는 공장을 원했는데 지금 추진 방향을 보면 그것과 일맥상통하는 것 같고, 대기업이 들어온다면 마을의 이익이라든지 경제적 활용도가 있으면 같이 가자.] <br /> <br />다른 우주 산업 관련 기업도 제주에서 발사체 시험과 위성 정보 수집 등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도는 앞으로 우주 산업이 지역 산업 구조를 개선하고, 경제를 이끄는 견인차가 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오영훈 / 제주특별자치도지사 : (제주는) 4%의 제조업 비중을 갖고 있는데 이것을 10% 이상으로 높일 수 있는 여건이 되는 것입니다. 제주도는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 수 있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위성 개발부터 발사, 위성 정보 활용까지, 제주가 우주 산업의 중심지로 가는 힘찬 발걸음을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고재형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윤지원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고재형 (jhko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121006220166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