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3분기에도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(PF) 대출 잔액과 연체율이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위원회는 오늘(11일)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시장 현안 점검 소통 회의를 열고 부동산 PF 현황을 비롯해 금융시장 잠재 위험 요인들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,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9월 말 기준 2.42%로 6월 말 대비 0.24%포인트 상승했고, 대출 잔액도 134조 3천억 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1조 2천억 원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업권별로 보면 상호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이 4.18%로 2분기 말 대비 3.05%포인트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금융위는 일부 대규모 사업장 연체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상호금융권 자본과 충당금 적립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업권 전반의 건전성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은 작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 부위원장은 높은 금리와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 PF 사업 여건 개선이 더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금융기관의 PF 위험 노출액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PF 리스크가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면밀한 밀착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손실 흡수 능력 확충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회의에서는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리스크와 관련한 점검도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위 분석 결과, 국내 금융회사의 총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는 55조 8천억 원으로 금융회사 총자산의 0.8% 수준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금융위는 향후 글로벌 자산 가격 하락 등으로 손실이 확대되더라도 금융권이 손실 흡수 능력으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도 금융위는 증권사 외화 유동성 상황과 퇴직연금 관련 자금 이동, 여전사 자금조달 상황 등을 점검했는데, 모두 관리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다며 리스크가 현실화할 가능성은 작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엄윤주 (eomyj101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21111505867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