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로 민원답변·공문서 작성…공공업무 변화 오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공지능 기술이 우리 생활에서 속속 활용되는 가운데 공공업무에서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르면 내년 공무원들이 민원답변을 하거나 대외 문서 작성 시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범 서비스가 시작됩니다.<br /><br />김종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행정안전부가 공개한 'AI 행정지원 서비스'입니다.<br /><br />언론사에 보낼 인삿말 원고를 써달라는 요청에, 포부부터 준비 과정을 담은 문구가 만들어졌습니다.<br /><br /> "공무원 업무를 AI가 전체를 대체할 수는 없고요. 지원하는 업무에 대해서 일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행정안전부는 지난 7월부터 SKT, LG 등 국내 기업과 행정업무 특화 서비스 개발을 추진했습니다.<br /><br />AI가 법령과 지침 정보를 검색해 민원 업무를 위한 기초 답변자료를 뽑거나, 각종 연설문과 보도자료 초안을 작성하는 기능이 대표적입니다.<br /><br />행안부가 배포한 'AI 행정지원 서비스' 관련 보도자료 역시 AI가 초안을 썼습니다.<br /><br /> "전체 데이터를 다 학습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100% 완벽한 수준으로는 아직 나오지 않았고요. 초안을 받아본 후에 그 토대로 보도자료를 작성한 겁니다"<br /><br />내년 일부 업무에서 AI서비스가 시범 활용될 예정인데, 검토해야 할 단계들이 많은 만큼 정식 시행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.<br /><br />행안부는 추후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한 웹 오피스 서비스도 도입하는 등 공무원 업무 시스템에 변화를 줄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성입니다. (goldbell@yna.co.kr)<br /><br />#AI #행정안전부 #공무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