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소년들이 대마초를 재배해 파는 내용의 모바일 게임에 장기간 노출된 사실이 드러났다. <br /> <br />20일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국내 구글 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 등에는 대마를 주제로 한 모바일 게임 수십 종이 올라와 있다. <br /> <br />먼저 ‘A’ 게임은 대마를 대비해 가공·판매하는 공장을 운영하는 게임으로 지난 2018년에 처음 출시됐다. 실제 플레이를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진행되는 전형적인 방치형 게임이지만 실존하는 대마 품종이 그대로 나온다. <br /> <br />또한 2015년에 출시된 ‘B’ 게임은 직접 화분에 대마를 키워 찾아오는 손님들에게 판매해 돈을 버는 게임이다. 물탱크로 수분을 공급하고 램프로 빛을 쬐게 하는 등 실제 실내 대마 재배 현장과 유사한 환경을 구현했다. <br /> <br />이 두 게임의 이용 등급은 구글 플레이 자체 기준으로도 고등학생도 플레이할 수 있는 만 17세 이상으로 분류되어 있다. <br /> <br />이 밖에도 대매 판매 조직을 운영하는 내용의 ‘C’ 게임은 15세 이용가로, 엘리베이터로 대마를 옮겨 판매하는 ‘D’ 게임은 12세 이용가로 분류돼 앱 마켓에 노출되어 있다. <br /> <br />국내 앱 마켓에 유통되는 ‘15세 이용가’ 등급 이하의 모바일 게임은 대부분 구글 플레이나 애플 앱스토어처럼 지정된 자체 등급 분류 사업자의 자체 심의를 통해 등급이 매겨진다. <br /> <br />다만 게임물관리위원회는 자체 등급 분류를 받은 게임물이 청소년 이용 불가나 등급 분류 거부 대상이 될 경우에는 직권으로 등급을 재조정해야 한다. <br /> <br />게임위 등급 분류 규정 10조는 범죄 및 약물을 구체적·직접적으로 묘사한 경우 '청소년 이용 불가' 등급으로 보고 있다.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(게임산업법) 32조는 '범죄심리 또는 모방심리를 부추기는 등 사회질서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는' 게임물을 유통이 금지된 '불법 게임물'로 간주한다. <br /> <br />그러나 게임위는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수년간 앱 마켓에 올라온 대마 재배 게임에 대해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이윤로 고려사이버대 교수는 연합뉴스를 통해 “대마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고, 특히 재배 방법이 구체적으로 묘사된 게임은 모방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”면서 “최소한 청소년의 접근은 막아야 한다”고 당부했다. <br /> <br />제작 : 정의진 <br />AI앵커 : Y-GO<br /><br />YTN 곽현수 (abroad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22009545182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