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년 동안 이어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인수 합병 과정이 결국 또다시 해를 넘기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아시아나항공 화물 여객 사업 분리 매각으로 9부 능선을 넘었지만, 아직 남은 과제도 산적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20년 11월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할 대상자로 대한항공을 보유한 한진그룹이 낙점됐습니다. <br /> <br />두 항공사의 결합으로 세계 10위의 초대형 국적 항공사가 탄생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[이동걸 / 전 KDB 산업은행 회장(지난 2020년 11월) : 새롭게 탄생하게 될 통합 국적 항공사는 글로벌 항공 산업 내 10위 수준의 경쟁력과 위상을 갖추게 됨으로써 코로나 위기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고….] <br /> <br />하지만 합병 과정은 평탄치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항공이 전 세계 화물과 여객을 아우르는 독점적인 지위를 얻게 되는 만큼 주변국들의 승인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기업 결합 승인 대상 14개국 가운데 유럽과 미국, 일본 3개국의 승인만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화물 독과점을 우려하며 심사에 몽니를 부렸던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화물 사업을 분리 매각하는 대한항공의 시정조치 방안에 긍정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심사 결과는 내년 2월 나올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9부 능선은 넘었지만, 곳곳에 암초는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남아있는 미국과 일본의 승인도 낙관할 수만은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부채 1조 원을 떠안고 화물 사업을 인수할 국내 항공사를 찾기도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[황용식 /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 : 아무래도 초기 투입비용이라든지 LCC의 현금 동원력이나 인수 역량이 조금 못 미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생각보다 많은 LCC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것 같진 않아요.] <br /> <br />대한항공은 미국, 일본과 시정 조치 방안을 협의해 경쟁 제한 우려를 해소하고 내년 말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끝내 합병이 무산될 경우 산업은행이 투입한 3조 원이 넘는 공적 자금 회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3년 넘게 이어진 인수 합병 절차가 마무리되고 내년 세계 10위의 초대형 항공사가 탄생할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YTN 윤해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22305304184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