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 절반 "자녀 필수 아냐"…저출산 새 통계지표 공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통계청이 개발 중인 저출산 관련 새로운 통계지표 체계가 오늘(26일) 처음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저출산 문제를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을 거란 기대가 커지는데요.<br /><br />보도국에 있는 기자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박지운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통계청이 저출산 통계지표 체계를 새롭게 구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점점 심각해지는 저출산 문제를 보다 입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인데요.<br /><br />단편적으로 흩어져 있던 통계 지표들을 크게 세 영역으로 분류해 유기적으로 재구성했습니다.<br /><br />출산 현황, 출산 현황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, 출산 현황과 결정요인에 영향을 주는 가족정책, 이렇게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됐는데요.<br /><br />그 아래에 11개 하위 부문이 들어간 형태입니다.<br /><br />이번에 발표된 통계체계는 통계청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맺은 업무협약에 따라 지난 4월부터 연구 개발이 추진돼 왔습니다.<br /><br />통계청 지표누리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지표별 정의와 해설, 시계열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에 공개된 지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떤 내용들이 담겨 있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결혼을 하기 위해 갖춰야 할 조건들이나 청년층의 의식 수준 등 다양한 지표들이 공개됐는데요.<br /><br />대표적으로 결혼에 대한 견해 지표를 살펴보면, 청년층에서 결혼을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라는 인식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결혼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사람은 6%였습니다.<br /><br />자녀에 대한 인식도 이와 비슷했습니다.<br /><br />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를 꼭 낳지는 않아도 된다고 응답한 미혼 남녀가 절반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다음으로 결정요인에 해당하는 가족형성 조건 관련 지표를 살펴보면, 지난해 29세 이하 청년층의 평균 임금은 4,123만 원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청년층 고용률은 약 60%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청년들의 가치관 및 인식을 알 수 있는 결혼하지 않는 이유 지표도 나와 있는데요.<br /><br />남성의 경우 경제적 이유가, 여성은 결혼 일 양립이 어려워서란 이유가 가장 크게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으로 가족정책 영역에는 사교육비나 육아휴직 지표 등이 포함됐는데요.<br /><br />구체적으로 지난해 학생 한 명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1만 원으로 집계됐는데, 초·중·고로 올라갈수록 사교육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요.<br /><br />육아휴직 사용률은 엄마는 70%, 아빠는 6.8%, 이를 합친 평균은 약 30%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은 일단 이 같은 주요 지표들만 공개된 상태인데요.<br /><br />통계청은 기본적인 구조는 유지하되 세부적인 지표를 추가·보완해 내년 12월까지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. (zwoonie@yna.co.kr)<br /><br />#통계청 #저출산 #결혼 #저고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