니카라과에 퍼지는 K-농업기술…빈곤·식량난 해결 한몫<br />[생생 네트워크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가 중남미 니카라과의 식량난을 극복하는데 선봉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농촌진흥청이 현지에 기술인력을 파견해 6년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강창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벼가 누렇게 익고 있는 중남미 니카라과의 들녘입니다.<br /><br />쌀이 주식인 니카라과는 관개시설 미비에 따른 물 부족으로 쌀 자급률이 75%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농촌진흥청이 현지 실정에 맞는 신품종을 개발해 보급한 결과, 물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소출은 12%가량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 "한국 품종은 니카라과의 다양한 환경에서 매우 잘 적응했고 우리가 전통적으로 재배해오던 품종보다 수확량이 더 높아 농가 소득 증대에 큰 도움이 됐습니다."<br /><br />니카라과는 방목에 의존해 소를 사육하는데 매년 건기가 되면 풀과 곡물 사료가 부족해 영양결핍이 발생합니다.<br /><br />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팜유 껍질과 쌀겨 등 부산물을 활용한 사료제조 기술을 보급했더니 고기 체증량과 우유 생산량이 대폭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 "가장 큰 어려움은 4월 이후 건기가 오면 풀이 자라지 않기 때문에 풀사료가 부족해 농후사료를 구입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한국의 참깨 품종은 현지 품종에 비해 수확량이 월등했고 참깨를 활용한 다양한 레시피를 보급해 농가의 부가가치를 높였습니다.<br /><br />농촌진흥청은 지난 2017년부터 중남미 빈곤 국가인 니카라과에서 쌀과 축산 등 5개 분야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매우 성공적입니다.<br /><br /> "현재 농가 실증시험을 하고 있는데 이런 시험들을 조금 더 국가적인 프로젝트로 발전시켜서 국가경제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…"<br /><br />한국의 선진 농업기술이 중남미 니카라과의 식량난 해결은 물론 빈곤 극복에도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창구입니다. (kcg33169@yna.co.kr)<br /><br />#농촌진흥청 #니카라과 #코피아센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