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명절 5개가 국가 무형유산으로 지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올해 설부터 문화유산이 된 명절을 지내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설날이면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한 해 동안 운과 복이 넘치길 바라며 떡국을 끓여 먹습니다. <br /> <br />대보름날엔 한 해 풍년을 기원하며 찰밥을 지어 먹고 달집을 태웁니다. <br /> <br />시대를 이어오며 음식이나 놀이 문화가 더해지긴 했지만 사실상 삼국시대 이전부터 우리 민족이 지켜온 세시 풍속입니다. <br /> <br />[김현숙,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사무관 : 우리나라 명절문화는 삼국시대부터 성립됐다고 볼 수 있고 고려 시대에 고유성과 다양성이 전승되어 체계화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한식, 단오, 추석, 동지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농경사회에서 가족 중심, 공동체 중심으로 화합과 풍년을 바라며 살아온 우리 민족만의 독창적이고 다양한 생활 풍습이 수백 년 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인 명절 5개가 국가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건 이런 점이 높게 평가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김현숙,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사무관 : 명절에 대한 역사성이 유구하고 우리만의 고유성과 대표성이 깊고요, 가족의 공동체 의식의 가치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어서 명절 지정이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공동체 참여 문화가 다양한 단오나 나쁜 기운을 물리치기 위해 팥죽을 쑤어 먹는 동지는 음력을 써온 아시아권 다른 나라들과도 차별화되는 우리만의 특징입니다. <br /> <br />국가 무형유산은 초기 전문 기능을 가진 전승자 중심에서 윷놀이 같은 공동체 문화를 거쳐 최근엔 온 국민이 함께 지켜온 생활 관습으로 개념을 확대해 지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족과 지역공동체의 가치를 일정 부분 회복하려는 의지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한 달 뒤 맞게 될 설부터는 국가 문화유산이라는 의미가 담기게 됩니다. <br /> <br />우리의 일상 어느 날에도 국가의 의무와 격이 더해진 셈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전주영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정회 (jungh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10102053460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