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세대 뛰어넘는 '제주어 교육'...시범사업 확대 / YTN

2023-12-31 34 Dailymotion

훈민정음의 고유 형태가 남아 있는 제주어, <br /> <br />하지만 사용 빈도가 줄어들면서 사라질 위기에 놓인 게 현실이죠. <br /> <br />현재 초등학교 한 곳에서 제주어 교육을 시범 실시하고 있는데 성과가 좋아서 올해부터(2024년) 확대 시행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이정훈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"삼춘 삼춘 어디감수과? 따뜻하게 입어 갑써예! 감기들지 모르니까예." <br /> <br />초등학교 교실에서 어린이들이 제주어로 가사를 쓴 동요를 부릅니다. <br /> <br />멜로디를 따라 부르다보면 낯설게 느껴졌던 제주어가 자연스럽게 익혀집니다. <br /> <br />[강은우 / 창천초 3학년 : 돗통시가 인상 깊었어요. 왜냐하면 사람들이 똥을 싸면 돼지들이 먹는다는 사실이 인상 깊었기 때문이에요.] <br /> <br />동네 어르신들과의 대화는 날 것 그대로의 제주어를 배우는 최고의 교재입니다. <br /> <br />알지 못했던 제주어의 의미를 배운 뒤 할머니, 할아버지와의 대화가 한결 더 쉬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동유 / 창천초 3학년 : 제주어를 더 깊이 알게 됐고 '삼춘'들의 이야기도 이해할 수 있어서 뿌듯했어요.] <br /> <br />제주에선 유일하게 제주어 교육이 진행되는 시범학교입니다. <br /> <br />학년별로 1년간 최대 40시간의 제주어 교육이 이뤄집니다. <br /> <br />제주어 시낭송이나 구연동화 읽기 등 일상생활 속에서 제주어 생활하기가 자연스럽도록 수업이 진행됩니다. <br /> <br />[이경란 / 창천초 3학년 교사 : 제주어는 참 아름답고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제주 어른들과 함께 제주어로 소통하고 연결되길 바라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지난 2010년 유네스코가 제주어를 '심각한 소멸 위기 언어'로 분류한 이후 제주교육당국과 제주특별자치도 역시 제주어 교육 필요성에 공감하며 공동 노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오영훈 / 제주도지사 : 20,30대 젊은이들이 특히 제주어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는데 그것은 단순히 호기심이 아니라 문화에 대한 이해와 궁금증을 일으키는 아주 좋은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제주어는 제주 고유 문화의 정체성은 물론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고유의 형태가 남아 학술적으로도 보존 가치가 높게 평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공감대 속에 이뤄지는 어린 세대들에 대한 제주어 교육이 세대간의 벽을 허물고 새로운 소통의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CTV뉴스 이정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정훈 kctv (yhk55522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10106241828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