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 서해 강진은 우리나라 동해안에 해일로 영향을 주게 됩니다. <br /> <br />동해안 묵호에는 85cm에 달하는 지진 해일이 관측됐는데요, <br /> <br />일본뿐 아니라 타이완 부근 해역에서 발생하는 강진도 해일 피해를 줄 수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한 지진해일 상황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상·재난 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지진해일이 우리나라 동해안까지 도달한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지진 발생 위치는 일본 혼슈 이시카와 현 북쪽 90km 해역입니다. <br /> <br />규모는 일본 기상청 기준 규모 7.6이었는데요, <br /> <br />이렇게 강한 지진이 해역에서 발생하면 쓰나미, 즉 지진해일을 일으킵니다. <br /> <br />동심원 형태로 발생한 해일이 우리나라 동해안까지 도달했는데, <br /> <br />최대 높이는 묵호에서 85cm가 관측됐고요, <br /> <br />후포 66cm, 속초 45cm, 임원에서도 33cm의 높은 파도가 기록됐습니다. <br /> <br />다행히 사전에 지진 해일 정보가 발령돼 별다른 피해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지진 해일이 동해안에 도착하기까지 1시간 넘게 걸렸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지진 발생 위치부터 우리나라 동해안까지는 거리가 약 700km 정도 됩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해일이 발생해 그 1파가 동해안에 도착하기까지는 약 2시간 정도가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남항진에 어제 18시 1분에 첫 해일이 도달했고, 묵호가 18시 6분, 후포에는 약 3시간 뒤인 18시 52분에 높은 파도가 잡혔습니다. <br /> <br />어젯밤이 파도 높이가 가장 높았고 지금은 점차 낮아지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오후 3시 기준 기상청에서 동해안 해일이 대부분 10cm 미만으로 현재 안정화 되었다고 판단한다는 문자를 배포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아직도 여진이 발생하거나 순간적으로 높은 파도가 일 수 있는 만큼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렇게 일본 서해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우리나라에서 해일 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인명 피해까지 발생한 사례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시기는 1983년과 1993년입니다. <br /> <br />우선 1983년 5월 26일 사례부터 보실까요? <br /> <br />일본 서해에서 규모 7.7의 강진이 일어났고 울릉도에서 126cm, 속초 156cm, 묵호에는 무려 2m의 해일이 일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1명 사망, 2명 실종됐고 가옥 침수와 선박 피해가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31년 전인 1993년에도 규모 7.8 강진으로 인해 지진해일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10217040045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