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영건설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오늘(5일) 오후 주요 채권단을 다시 소집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크아웃 불발로 인한 피해는 모두 그룹 책임이라며 압박 수위를 높였는데, 일각에서는 태영 측이 '버티기'에 들어갔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태영건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5대 시중은행을 포함한 주요 채권단을 다시 불러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태영 측을 향해 강도 높은 자구안 마련을 다시 한 번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은행은 계열주와 태영그룹이 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방안을 진정성 있게 제시하라고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크아웃 불발로 초래되는 모든 경제적 피해와 사회적 신뢰 붕괴는 계열주와 태영그룹의 책임이라고 못 박았습니다. <br /> <br />채권단도 앞서 입장문을 내고 태영그룹이 워크아웃 신청 당시 약속한 자구 계획을 이행하라고 압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TY홀딩스 연대 채무 해소에 사용한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대금 890억 원을 태영건설에 즉시 지급하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김주현 금융위원장도 태영그룹이 신뢰할만한 안을 내놔야 한다며, 날짜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재촉했습니다. <br /> <br />태영그룹은 자구안대로 매각 대금 전액이 태영건설 지원에 사용됐다는 기존 입장만 되풀이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듯 양측 입장이 평행선만 달리면서 워크아웃 개시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는 태영그룹이 버티기에 돌입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황세운 /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: 태영건설이 무너졌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충격과 후유증이 상당히 클 수밖에 없고요. 따라서 태영건설 측과 채권단의 줄다리기가 어느 정도 이어지겠지만, 결국 양자 간 합의로 채권단이 워크아웃을 받아들이는 쪽으로 가게 될 가능성이 현재로썬 더 크지 않나….] <br /> <br />오는 11일 채권단 75%의 동의를 얻지 못하면 태영건설 워크아웃은 무산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총수 일가의 추가 사재 출연 등 채권단 눈높이에 맞는 추가 자구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윤해리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희정 <br />그래픽 : 홍명화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10522095228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