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타 강사가 낸 지문이 수능에…교육부, 뒤늦게 수사의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수능에서 미리 풀어본 지문을 만난다면 익숙한 내용에 마음도 편해지고, 푸는 시간도 줄어들 텐데요.<br /><br />EBS 교재가 아닌 사설 모의고사를 푼 뒤 이런 경험을 한 학생들이 있어 교육부가 수사를 의뢰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재작년 수능에서 생긴 일이라, 뒤늦은 대처란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안채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얼핏 봐도 비슷해 보이는 두 지문.<br /><br />왼쪽은 지난 2022년 9월 한 유명 학원 강사가 낸 모의고사 문항이고, 오른쪽은 그해 수능에 출제됐던 문항입니다.<br /><br />당시 수능이 끝나자마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두 문항이 유사하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강사 A씨의 모의고사를 풀어본 학생들이 수능에서 유리했다는 반응이 나오자,<br /><br />출제 주체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도 관련 문항에 대한 이의 신청이 100건 넘게 접수됐습니다.<br /><br />평가원 측은 당시 지문이 비슷하더라도 문항의 유형이 다르다며 논란을 일축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교육부가 사교육 카르텔·부조리 신고센터를 운영하며 의혹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.<br /><br />A씨가 지속적으로 현직 교원에게 돈을 주고 문항을 사들이고 있다는 신고가 접수된 겁니다.<br /><br />교육부는 지난해 7월 교원 4명과 해당 강사를 경찰에 수사의뢰 했습니다.<br /><br />그 과정에서 유사도 논란이 일었던 해당 문항에도 문제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함께 수사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감사원은 논란이 불거진 지 약 8개월 만에 수사의뢰가 이뤄진 것을 두고 교육부와 평가원에 대한 감사에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문항에 문제가 없었다고 판단한 평가원 측은 현재 추가 입장을 밝히기 곤란한 상황이라고 답했습니다.<br /><br /> "감사원에서 감사하고 있는 내용들이라서 현재 수감 중인 기관의 입장에서 답변을 드릴 수가 없는…"<br /><br />당시 수능에 대한 공정성 문제까지 제기되는 가운데 교육부는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. (chaerin163@yna.co.kr)<br /><br />#수능 #공정성 #사교육카르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