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년 연속 줄어든 신생아…지방 소멸 위기감 고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구의 변화는 나라의 미래를 짐작하게 합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지난해 12월 31일까지 대한민국 주민으로 등록한 인구를 대상으로 연령과 지역별 각종 추이를 분석했는데요.<br /><br />저출생과 고령화, 수도권 집중 현상이 눈에 띄게 심화됐습니다.<br /><br />정부의 인구 통계, 윤솔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8년째 주민등록상 출생자는 꾸준히 줄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행정안전부는 2023년 한 해 주민등록 기준 출생자는 23만 5천여 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향 곡선으로 처음 꺾였던 2015년과 비교해보면 줄어드는 정도가 아니라 거의 절반으로 뚝 잘려 나간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인구 감소 수준은 지난 2022년에 이어 11만 명 수준, 2년 연속 웬만한 중소 도시 1개가 사라진 셈입니다.<br /><br />연령대별 인구를 보면 나이를 먹어가는 대한민국의 현실은 더욱 뚜렷이 드러납니다.<br /><br />사상 처음으로 70대 인구가 20대 인구를 넘어선 겁니다.<br /><br />지난해 70대 이상 인구가 632만 명, 20대 인구는 619만 명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 "(통계청에서) 2025년에 초고령사회 인구를 전망하고 있는데요. 주민등록 인구에서도 좀 비슷하게 내년 아니면 내후년에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."<br /><br />17개 시도별 상황을 한번 볼까요.<br /><br />새롭게 진입한 충북과 경남을 포함한 8곳이 초고령사회, 대구와 서울 등 8곳이 고령사회, 유일하게 세종시만 고령화 사회 기준에 머물렀습니다.<br /><br />지방 소멸 위기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 격차가 최대치를 기록한 겁니다.<br /><br /> "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인들보다 70만 3200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2019년에 처음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초월한 이래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에 인구 격차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비수도권 인구 감소 주요 지역으로는 경북과 경남, 부산, 전북 등이 꼽혔습니다.<br /><br />저출생과 고령화, 그리고 지방 소멸은 피할 수 없고 피해서도 안 되는, 올해 당면한 가장 큰 과제란 점을 인구 통계가 말해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. (solemio@yna.co.kr)<br /><br />#저출생 #고령화 #지방소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