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타냐후 "팔레스타인 국가 반대"…미국 전후구상 거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스라엘 강경파 지도자인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전후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에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공존하는 이른바 '두 국가 해법'을 요구해왔는데, 두 동맹의 파열음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윤석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하마스와의 전쟁 이후 어떤 시나리오에서도 팔레스타인 국가 건립에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네타냐후 총리는 현지시간으로 18일 TV로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"이런 입장을 미국에도 전달했다"며 이같이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가까운 장래에 어떤 협정을 맺든, 협정이 있든 없든, 이스라엘 국가는 요르단 강 서쪽의 전체 영토에 대한 안보 통제권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합니다."<br /><br />스위스 다보스 포럼에 참석한 헤르조그 이스라엘 대통령도 "지금 당장은 하마스와의 전쟁을 끝낼 수 없다"고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"하마스를 뿌리 뽑는 것이 팔레스타인 주민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도 필요하다"는 겁니다.<br /><br /> "이스라엘인들은 평화 협상에 대한 신뢰를 잃었는데, 그 이유는 테러가 이웃 국가들에 의해 미화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런 강경한 입장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공존하는 이른바 '두 국가 해법'을 추구해온 미국의 입장과는 배치되는 것이어서 적지 않은 파열음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 "그들(안보 파트너)은 이것(평화)이 팔레스타인 국가로 가는 길을 포함하는 지역적 접근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."<br /><br />미 NBC 방송은 "미 행정부가 강경파인 '네타냐후 정부' 이후 새로운 지도부와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 등을 논의하는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"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'온건' 성향의 요아브 갈란트 국방장관은 "전후 가자지구는 팔레스타인 주민이 주도해야 한다"는 개인 입장을 밝혀 이스라엘 정부 내 이견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유럽 의회는 이날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의 '영구 휴전을 촉구하는 결의안'을 채택했습니다.<br /><br />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이해관계가 첨예한 국제사회에서 '영구적 휴전'이라는 표현을 포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석이 입니다. (seokyee@yna.co.kr)<br /><br />#이스라엘 #하마스 #미국 #유럽연합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